백신 공급 세가지 과제…초저온유통, 안전성, 접종시기

코로나 백신 4400만명분 확보
글로벌 공동구매·개별기업 협상
어린이 제외 사실상 전국민 무료접종할듯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최대열 기자] 정부가 국민 4400만명분에 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백신 확보에 나섰지만 백신이 국민에게 접종되기까지는 유통체계ㆍ안전성 검증 등 선결 과제가 많다. 정부가 선구매한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얀센, 모더나 백신의 특성이 제각각인 데다 보관 조건, 접종 횟수도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백신 개발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안전성ㆍ효과성 우려가 제기되는 만큼 외국 동향과 부작용도 살펴야 한다.

①화이자 백신 콜드체인 관건유통 등 고려할 특성 제각각

특히 영국에서 8일(현지시간) 접종이 개시되는 화이자 백신의 경우 영하 70도에서 보관해야 하는 등 까다로운 콜드체인(저온유통) 조건 때문에 철저한 준비가 요구된다. 화이자 백신은 드라이아이스를 채운 특수상자에서 열흘밖에 보관할 수 없고, 영하 70도 이하의 온도를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는 별도의 냉동창고를 갖춰야 한다.

인천국제공항에서 의료현장으로 백신을 수송하는 물류과정부터 각 병원 보관시설에 안전하게 배송될 수 있도록 유통체계 전반에 대한 계획을 꼼꼼히 세워야 한다.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화이자 백신은 한 번 접종이 아니라 2회 접종인 데다 초저온 유통이 이뤄져야 해서 정부 차원의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 중"이라면서 "유통ㆍ보관에 있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충분히 논의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립해 완전한 접종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청에 백신 도입과 예방 접종을 위한 별도 전담조직(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을 꾸릴 계획이다.

영국 런던의 한 병원 간호사가 미국 제약회사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모의훈련을 하고 있다.[이미지:연합뉴스]

②부작용 등 안전성 우려도제조업체들 "책임묻지말라"

부작용 등 안전성 우려도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독감 등 그간 널리 쓰이는 백신의 경우 짧아도 수년, 길게는 수십년에 걸쳐 개발했고 오랜 기간 접종이 이뤄진 만큼 안전성은 입증돼 있다. 코로나19 백신은 개발을 시작한 지 1년이 채 지나지 않았고 오랜 기간 걸리는 임상시험도 건너뛴 만큼 혹시 모를 부작용 우려는 남아있다. 백신 제조업체는 각 국가와 협상을 진행하면서 접종 후 부작용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는 걸 요청하고 있다. 정부가 구체적 계약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공통으로 요청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도 비슷한 처지일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보건당국도 국내에 도입하는 즉시 접종을 시작하기보다는 앞서 접종을 시작한 국가에서의 추이를 살펴본 후 접종하는 쪽으로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독감처럼 국가예방접종사업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 경우 백신접종 후 부작용에 대한 피해보상책도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에 확보한 백신의 경우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자료가 없어 현재로선 접종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역시 부작용을 우려해서다. 백신의 경우 통상 단기 부작용은 2~3개월 안에 알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부작용은 수년이 걸리기도 한다. 양동교 질병청 의료안전예방국장은 "접종 대상자나 시기 등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감염병관리법에 따라 예방접종 부작용에 따른 피해보상제도를 구체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직 개발 중인 백신의 경우 최종 실패로 결론이 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우리 정부가 확보한 아스트라제네카ㆍ얀센의 백신은 임상 막바지 단계다. 선구매 계약의 경우 최종 실패로 결론이 나더라도 선급금 등 기존에 지불한 금액을 돌려받을 수 없는 게 일반적이다.

이환종 서울대 의과대학 명예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실에서 열린 코로나19 백신 도입 계획 발표 브리핑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③내년 초 도입, 하반기 접종허가 차질 없도록 준비해야

접종시기를 앞당기는 것도 숙제다. 정부는 선구매한 백신을 내년 1분기(2ㆍ3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인데 국민 접종은 내년 하반기 이뤄질 전망이다. 양진영 식약처 차장은 "백신의 경우 일반의약품과 달리 국가출하승인을 거쳐야 한다"면서 "현재 신속한 허가를 위해 허가심사전담팀을 꾸려서 준비 중이며 복지부ㆍ질병청과 논의해 접종계획에 맞춰 접종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일단 내년 1분기 가장 먼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도입하고 화이자ㆍ모더나 등의 백신이 순차적으로 들어올 예정이다. 다만 미국과 영국, 유럽연합(EU) 등 국가들에서 최대 확진자가 잇달아 나오면서 이들 국가에 우선적으로 공급될 가능성이 높다. 임 국장은 "미국의 코로나19 상황이 굉장히 급박해 해당 국가들에 대한 공급이 먼저 이뤄질 가능성이 있지만 결코 우리나라가 일본 등에 비해 늦는 것은 아니다"면서 "최대한 늦지 않게 도입ㆍ접종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4차산업부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