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공청회도 '평행선'…수능 절대평가 향방은 어디로

전 과목 절대평가 VS 일부 과목 절대평가 의견 팽팽교육부, 31일 최종안 선택해 발표

지난 11일 서울 서초구 서울교대에서 열린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 공청회에서 청중들이 전 과목 상대평가를 요구하며 피켓을 들고 있다.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에 대해 의견을 마지막 공청회가 여전히 평행선을 유지한 채 끝났다. 일부 과목(영어, 한국사, 통합사회·과학, 제2외국어)에만 절대평가 도입(1안)과 전 과목 절대평가 도입(2안)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교육부가 21일 대전 충남대에서 개최한 2021학년도 수능개편시안 충청권 공청회에서도 참가 토론 패널 4명 중 1안과 2안을 지지하는 이들이 정확히 반으로 갈렸다. 1안이 압도적으로 우세했던 첫 공청회를 제외하곤 모든 공청회에서 1안과 2안이 동률을 기록해 끝내 의견이 좁혀지지 않는 모습으로 종료된 것이다.첫 토론 패널인 안상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장은 "수능 개편 시안 1안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능 개편 방향에 맞지 않는 자기모순적 방안"이라고 못 박았다.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학습 및 선택과목 활성화 유도'라는 수능 개편방향과 달리 1안을 선택할 경우 여전히 점수를 잘 받기 위한 선택과목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는 지적이다.안 소장은 "선택과목을 상대평가하면 점수를 위해 '생활과 윤리' 과목을 '경제' 과목보다 압도적으로 선호하는 풍토가 이어져 결국 선택 과목을 활성화하는 것이라 오히려 선택하지 못하도록 가로막게 될 것"이라며 "1안은 상대평가 과목, 특히 수학에 쏠리는 점수 경쟁 압박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수능 준비 부담 경감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재하 중일고등학교 교사도 전 과목 수능절대평가를 찬성했다. 이 교사는 "고교 교육이 시험과 대입에 종속되지 않고 본연의 역할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전 과목 수능 절대평가가 필요하다"며 "변별력에 따른 선발 문제는 대학의 역할이다"라고 설명했다.조정기 순천향대학교 수학과 교수와 권기창 충북학교학부모연합회장은 일부 과목에만 상대평가를 도입해야 하는 1안이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조 교수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절대평가 도입 방향성은 옳지만 내신성취평가제(절대평가제) 등 같이 추진되어야 할 제도 시행 여건이 마련되지 못했고 대입 전형 운영에 대해 충분히 검토되지 못한 상태에서 전면 도입하는 것은 수험생과 대학의 혼란을 불러올 수 있다"며 "학생들의 재도전 기회 축소(재수생, 검정고시 등) 우려에 대한 검토도 필요한 만큼 1안으로 시작해 단계적으로 확대하다가 내신성취평가제와 고교학점제 등과 함께 전면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권 회장도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절대평가와 연계한다면 일부과목 시범운영으로 성과와 문제점을 검토한 후 전면 시행으로 가는 방향이 혼란을 최소할 것"이라고 말했다.교육부는 공청회에서 나온 의견을 반영해 1안과 2안중에서 최종 선택, 오는 31일 2021학년도 수능개편안을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