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부처별 업무보고 ‘토론식’으로 진행

내일부터 22개 부처 9개 그룹으로 나눠 실시 부처별 보고시간은 10분 내외…같은 그룹 유관부처끼리 토론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아시아경제 황진영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22일부터 각 부처 별로 취임 후 첫 업무보고를 받고 본격적으로 개혁 정책의 드라이브를 건다.취임 후 100일이 국정개혁의 설계도를 그리고 기초를 다지는 기간이었다면 부처별 업무 보고를 계기로 개혁 과제를 본격적으로 '실행'에 옮기는 단계로 접어드는 셈이다. 청와대는 21일 문 대통령이 22일부터 31일까지 총 22개 부처를 업무 연관성에 따라 9개 그룹으로 나눠 업무보고를 받는다고 밝혔다. 부처별 보고 시간은 10분 내외로 최소화해 핵심 정책 2개씩만 보고하고 같은 그룹으로 묶인 유관부처 간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 정부에서 추진하는 개혁 과제를 실행에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처 간 이견을 해소하고 현 정부의 국정 철학을 공유해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줄이자는 취지다. 첫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를 시작으로 다음 주까지 나머지 15개 부처의 보고가 이어진다. 23일에는 외교부와 통일부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 해법과 함께 남북 관계 개선 방안 등을 보고할 계획이다.25일에는 경제 정책 부처인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가 증세 문제를 비롯한 소득주도 성장, 재벌개혁 등에 대해 토론할 예정이다. 이날 업무보고에서는 초고소득자 및 법인세 증세, 소득주도 성장의 구체적인 방법론, 재벌개혁 방안, 프랜차이즈의 ‘갑질’근절 방안 등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을 가늠할 수 있는 현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여 재계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후속 협상이나 ‘8·2부동산 대책’ 등과 관련한 후속 대책은 각각 2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 업무보고에서 논의된다. 30일에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가 ‘살충제 달걀’ 사태 후속 대책을 논의한다. 마지막 날인 31일에는 보건복지부가 건강보험 보장성을 강화하기로 한 이른바 ‘문재인 케어’에 대한 토론이 예정돼 있다.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