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국회팀]박근혜 대통령의 하야정국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정가에 각종 대책·수습기구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국정공백 장기화가 우려되는 만큼 정치권이 무질서한 백가쟁명 대신 정리된 수습안을 도출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여야를 뛰어넘는 해법을 모색하는 움직임도 감지된다.16일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달 '최순실 게이트'가 본격화 된 이래로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등 원내4당에서는 각기 다른 상황에도 각종 대책·수습기구가 우후죽순처럼 시작되고 있다.◆우후죽순 정치권 비상기구=최순실 게이트로 수세에 몰린 여권에서는 다양한 비상기구들이 속출했다. 최순실 의혹을 해소하기보다, 당 내분을 표출하는데 방점이 찍혔다. 친박(친박근혜)ㆍ비박(비박근혜)이 따로 위기 극복의 공간을 마련하면서 세결집의 모양새를 띠고 있다. 최순실 정국에서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한 일종의 출구전략으로 해석된다. 대표적인 모임이 비상시국위원회다. 비박(비박근혜) 중심의 비상시국위가 들어서면서 친박(친박근혜)과 나뉘어 본격적인 '한 지붕 두 체제'가 출범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비상시국위는 전날 12명의 공동대표 체제를 구축했고, 이날에는 첫 대표자회의와 실무위원회 연석회의를 개최했다. 사실상 '과도기적 비주류 지도부'가 꾸려진 셈이다.주류 친박도 반격에 나섰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물밑에서 당의 분란을 추스를 비상기구로 '재창당준비위원회'를 구상했지만 4~5선급 중진들의 비협조로 무산됐고, 친박 중진인 원유철 의원이 "공멸을 막자"며 꺼낸 '비상중진협의체' 카드도 비박 인사들이 고사하며 수포로 돌아간 상태다. 이런 가운데 친박 초선과 재선 의원들은 잦은 모임을 가지면서 세를 규합 중이다. 비주류만의 별도 지도부 구성이 현실화하면서 향후 대책 등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반면 정국주도권을 쥔 야당에서는 각 당(黨) 별로 각기 꾸려진 기구들이 주로 '진상조사'에 주안점을 둔 활동을 벌이고 있다. 민주당 박근혜-최순실게이트 국민조사위원회(공동위원장 이석현·전해철), 국민의당 박근혜-최순실게이트 대책위원회(위원장 천정배), 국민의당 김기춘 헌정파괴 진상조사위원회(위원장 주승용) 등이 대표적이다.◆凡정치권 대응 움직임 '꿈틀'= 이처럼 사건대책·수습을 위한 각종 기구들이 우후죽순 돋아나면서 정치권에서는 박 대통령의 거취문제 등에 대한 공론을 모을 비상시국기구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사태가 장기화 되고 있는 만큼, 이제는 무질서한 백가쟁명 보다 정리된 수습책을 내놓을 시점이라는 주장이다.이와 관련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전날 야3당과 시민사회단체가 합세하는 '비상시국기구' 구성을 제안했다. 야3당이 박 대통령 퇴진이라는 최대공약수를 찾은 만큼, 공통의 해법을 찾자는 것이다. 이외에도 정의당, 조배숙 국민의당 의원 등은 야3당 합동 의원총회를 열어 대응방안을 논의하자고 제안키도 했다.특히 야권 1위 주자인 문재인 민주당 전 대표는 전날 "모든 야당과 시민사회, 지역까지 함께 하는 비상기구를 통해 머리를 맞대고 퇴진운동의 전 국민적 확산을 논의하고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1987년 당시 직선제 개헌을 위한 범 사회적 지도부 역할을 했던 '민주화쟁취국민운동본부(국본)'이 떠오르는 대목이다.여야를 넘어선 해법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이에 대해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는 여야의 책임있는 대표자들이 모이는 '(가칭)정치지도자회의'를 제안하기도 했다. 범 정치권 비상시국 행동을 위한 물밑 움직임도 강화되고 있다. 이날 민주당 변재일·박영선·송영길·민병두 의원, 새누리당 비박계 이종구·이혜훈·황영철 의원 등은 회동을 갖고 국회법에 규정된 국회 전원위원회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정치경제부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