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업계 '삼성' 꿈꾸는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

"불가능한 상상, 열정으로 이뤄내겠다"
[아시아경제 권해영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KDB대우증권을 품에 안으면서 국내에서도 자기자본 8조원에 달하는 '메가' 증권사 탄생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번 미래에셋+대우증권 출범의 가장 큰 의미는 한국 금융투자시장의 '삼성'이 나올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는 점이다. 삼성과 현대를 창업한 이병철 회장과 정주영 회장이 과감한 투자를 통해 무에서 유를 창조했듯 평범한 회사원으로 출발해 미래에셋그룹을 창업한 박현주 회장도 과감한 투자를 통해 금융투자업계의 삼성, 현대를 만들어 한국형 글로벌 투자은행(IB)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박 회장은 "한국의 금융산업은 왜 삼성 같은 회사가 안 나오느냐. 구체적인 데이터로 하려면(구체적인 데이터 바탕으로 해서 플랜 제시하고 하려면, 이라는 뜻) 만들 수가 없다. 리더 그룹이 불가능한 상상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병철, 정주영 회장은 그 때 당시로는 불가능한 상상을 했다. 금융의 삼성전자를 만들려면 불가능한 꿈을 꾸고 불가능한 상상을 해야 한다. 구체적인 데이터 부분은 보다 큰 꿈을 가지고 시간을 가지고 증명하겠다"고 강조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번 인수로 자기자본 7조8000억원대 초대형 증권사로 도약한다. 미래에셋증권이 벤치마킹할 글로벌 IB인 일본 노무라증권(자기자본 11조원)과는 자기자본 차이가 종전 7조5000억원에서 3조2000억원 수준으로 크게 줄어든다. 체급을 글로벌 플레이어와 경쟁할 수 있는 수준으로 더욱 끌어올리고 기존 미래에셋의 강점인 자산관리 업무에 대우증권의 강점인 브로커리치, 리서치, IB 업무를 결합해 성장하겠다는 방침이다.박 회장은 "미래에셋과 대우증권의 장점을 잘 결합해 아시아 대표 글로벌 IB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며 "저성장 고령화 시대를 맞은 한국에서 투자 활성화를 통해 한국 경제의 역동성을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에셋+대우증권 출범으로 포화 상태인 국내 금융투자업계의 생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미래에셋+대우증권이 앞으로 7조8000억원대 자기자본을 갖추면 2위 NH투자증권(4조5000억원)과는 3조3000억원의 격차가 나게 된다. 미래에셋+대우증권이 압도적인 덩치를 바탕으로 시장 공략을 강화하면 다른 증권사들 입장에서는 새로운 먹거리 창출 경쟁이 더 치열해 질수밖에 없다. 대형사들은 현대증권을 포함해 다른 인수합병(M&A) 매물을 인수해 덩치를 키우고, 아시아 등 해외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경쟁력을 갖추지 못해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한 일부 중소형 증권사들은 도태될 가능성도 있다.미래에셋+대우증권이 넘어야 할 산도 있다. 인수 자금 확보와 대우증권 노조 반발 등이다. 미래에셋증권의 인수가는 2조4000억원대 후반으로 현금성 자산 3700억원,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자금 9500억원을 제외하면 약 1조원을 추가로 조달해야 한다. 미래에셋증권은 금융기관 예치 자산이 2조2500억원이며 인수금융으로 8000억원을 조달할 수 있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노조의 반발도 풀어야 할 숙제다. 미래에셋증권의 완전 고용 약속에도 불구하고 대우증권 노조는 구조조정, 대우증권을 활용한 인수금융 가능성 등을 우려하며 반발하고 있다.이 같은 우려에 대해 박 회장은 박 회장 "미래에셋증권과 대우증권의 자기자본을 합하면 점포수를 더 늘려도 된다"며 "대우증권 인수 후 점포수를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