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넘치는 대졸자, 고용절벽에 설 80만명

2024년까지 전문대 이상 대학졸업자 인력이 약 80만명 초과공급될 것이라는 고용노동부의 전망이 나왔다. 공학ㆍ의학계열은 대졸자가 모자라는 반면, 그 외의 전공계열은 모두 대졸자가 넘칠 것이라는 게 골자다. 대학 학과 통폐합, 학부 및 단과대 신설 등 학사구조 개편과 정원조정이 과감하게 이뤄지지 않을 경우 대졸 청년들의 고용절벽은 피하기 어려울 것 같다. 기초학문을 살리면서도 인력공급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가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고용부가 오늘 최초로 내놓은 '2014~2024년 대학전공별 인력수급전망'에 따르면 이 기간 중 대졸자 32만1000명, 전문대졸자 47만1000명 등 79만2000명이 노동시장에 초과공급될 전망이다. 저출산으로 대학과 전문대 졸업생은 줄어들고 구인 인력수요는 지속해서 발생하면서 수급 차는 줄어들겠지만 초과공급은 여전할 것이라는 게 고용부의 결론이다.초과공급 인력규모는 문과계열이 가장 많다. 대학에서는 사회ㆍ사범ㆍ인문계열의 인력은 수요를 초과하는 반면 공학계열은 크게 부족할 것으로 예측됐다. 전문대 역시 사회ㆍ자연계열, 예체능과 사범계열은 공급이 넘치는 반면 공학은 사람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체로 문과는 대졸자가 넘치는 반면, 공학과는 턱없이 부족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인력수급의 미스매치가 지속되는 이상 '문송(문과라 죄송)', '인구론(인문계 90%가 논다)' 등 신조어가 보여주는 문과생들의 극심한 취업난은 해소될 수 없다. 따라서 대학과 정부는 이런 미스매치를 해소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부실한 대학을 정비하고 인력 공급 측면에서는 전공별 수급을 고려한 학과 통합ㆍ신설 등 구조개혁과 정원조정 노력을 기울여 인력공급 자체를 줄이는 게 급선무다. 그렇지만 기초학문 붕괴를 우려하는 관련 교수들의 반발 등으로 대학 자체의 구조개혁은 지지부진하다. 교육부가 내년부터 취업률 높은 학과를 중심으로 학과를 개편하는 대학에 최대 300억원을 지원하는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육성사업(PRIME사업)'을 실시하려는 것은 인센티브를 제공해 대학의 구조조정을 촉진하려는 복안이다. 취업률이 높은 이공계중심의 학과 구조조정이 이뤄진다면 반대의 목소리 또한 커질 게 불 보듯 뻔하다. 다각적인 보완책이 뒤따라야 한다. 아울러 인문계열 학생들을 흡수할 수 있는 직종의 발굴도 필요하다. 청년 고용절벽의 해소가 절실한 과제임에 틀림없으나 기초학문과 인문학이 창의력과 미래 성장동력의 기본이라는 사실 또한 잊어서는 안 된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