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외버스 지정좌석제·왕복승차권 예매 시범 시행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국토교통부는 시외버스 이용객의 편의 제고를 위해 인터넷·모바일 등을 통한 왕복승차권 예·발매와 지정좌석제 등 서비스를 오는 28부터 시외버스 주요 80여개 노선에서 시범적으로 제공한다고 27일 밝혔다.그동안 시외버스의 경우 버스연합회와 터미널협회에서 각자 구축·운영한 시스템이 상호 연계·호환이 되지 않았다. 이에 국토부와 양 단체는 지난해 9월부터 시외버스 전산망 연계·호환을 추진해 왔다.전산망 연계·호환이 본격화하면 시외버스도 고속버스와 같이 운행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인터넷·모바일·무인발매기 등을 통한 편도·왕복 승차권 예·발매 및 홈티켓이 가능해진다.지정좌석제가 운영되면 이용객의 대기시간 단축과 승차권을 분실한 승객이 재발행을 요구할 경우 부정 청구를 우려해 이를 거부해온 문제도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운송수입금도 승차권 부표정산 방식에서 자동정산 방식으로 개선됨에 따라 버스 및 터미널업계 종사자의 업무도 대폭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시외버스 전산망 연계·호환 서비스는 80여개 노선에서 시범적으로 시행한 후 올해 하반기 시외버스 전 노선(약 4700여개)에서 상용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이번 시범서비스는 수도권과 지방간을 연계하는 65개 노선(충청권 24개, 경상권 15개, 강원권 13개, 호남권 13개)과 지방과 지방간을 연계하는 21개 노선에서 제공될 예정이다.버스연합회와 터미널협회 홈페이지 등에서 예약하거나, 모바일은 모바일 앱 스토어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야 이용하면 된다. 권병윤 국토부 종합교통정책관은 "시외버스 전산망 연계·호환 서비스가 정착되면 시외버스도 철도·고속버스와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돼 시외버스 이용객의 불편이 대폭 개선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고속버스·철도 등 다른 교통수단 전산망과의 연계를 통해 승차권 예·발매 편의를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주상돈 기자 d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