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강세+자국통화 약세, 신흥국에 독

[아시아경제 정준영 기자] 한국금융연구원(이하, 한금연)은 신흥시장국들에 대해 손실 확대 방지를 위한 공공-민간 부문 외채의 통화미스매칭 관리를 강화할 필요성이 커질 것으로 진단했다. 향후 미 달러화 강세가 신흥국 시장에 독이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기업·은행·정부 차원에서의 외환관리 강화가 긴요하다는 것. 최근 신흥시장국의 성장률이 동반 둔화되는 가운데 해외수요 확보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금연은 신흥시장국들의 자국통화 가치하락이 해외수출 수요 확대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을뿐더러 경제 구조적 취약성으로 가격경쟁력 회복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고 짚었다. 원유·원자재 가격 하락 역시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금연은 투자자들의 위험감수 성향 저하와 자본유입 감소 등으로 인해 원자재 수출국들이 수입국들이 얻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상실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수개월 새 나타난 금융상품 전반의 가격 변동성 확대는 국제금융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취하고 있는 통화포지션 및 레버리지비율 등이 더 큰 영향을 미친 결과일 수도 있다. 한금연은 단기적 환율변동 뿐만 아니라 최근 전개 중인 국제금융시장 전반에 대한 신중한 분석이 필요하나, 신흥시장국들의 통화가치 하락은 가격경쟁력 개선이나 수출 확대보다 국가들의 취약성을 실현할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더 클 것으로 우려되다고 분석했다. 최근 미국 경제연구조사기관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2000년대 같은 급속한 수출 신장세는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려우며 향후 수년간 신흥시장국들의 수출 증가율이 GDP 성장률을 밑도는 상황이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수 경제학자들은 신흥시장국 전반에 걸친 미흡한 구조개혁이 미 달러화 강세와 자국통화의 가치하락으로 나타나는 수출 확대 기회를 살지미 못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금연은 향후 미 달러화 강세를 기회요인이라기보다 위협요인이라는 인식을 갖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신흥시장국들은 이미 미 달러확 강세로 실물경제와 자산가격이 출렁이며 고통을 겪은 바 있는 만큼 새로운 현상도 아닐뿐더러, 과거 정부부문의 외화차입 확대 및 자국통화 약세가 문제였다면 자본시장 발달로 정부부문의 외화차입 중 상당부분이 국내차입으로 전환됐다는 설명이다. 최근 몇 년 새 민간부문 외화차입 급속 확대로 미 달러화 강세가 급속히 진행되면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혼란이 재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제결제은행도 미국 조기 금리 인상과 급속한 달러화 강세 진전으로 신흥시장국이 실물경제 위기국면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정준영 기자 foxfur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정준영 기자 foxfur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