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낱말의 습격]대기설법을 아는가(18)

낱말의습격

대기설법(對機說法). 이런 말을 들어봤는가. 들어보지 않았다면, 기억해두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인도에서 온 달마가, 언어도 다르고 문화도 다르고 전통도 다른, 중국에다, 낯설 수 밖에 없는, 어떤 신념체계를 풀어놔야 할 때, 당연히 막막했을 것이다. 불교에 대한 이해도 0.1%. 그런 친구들에게 오랫동안 쌓인 이론체계들을 내미는 일은 전혀 씨가 먹히지 않는 소통방식이다. 달마는 중국의 사고방식, 지적 수준, 계층별 취향의 차이를 연구한다. 그래서 그 타겟에 맞게 말하는 방식을 바꾼다. 이것이 바로 대기설법이다. 듣는 사람의 근기(根機, 뿌리와 사고방식)에 맞춰 진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것은 요즘의 커뮤니케이션 제1장제1절이 아닌가. 응기접물(應機接物)이라고도 한다. 타겟을 고려하여 스토리를 맞춤으로 제공하라는 의미이다. 문자를 통한 전달을 피했던 것은, 당시 대중의 삶 속에 문자가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들에게는 직설과 명쾌함이 필요했다. 선불교의 화두는 어렵게 보이지만, 사실은 직관의 언어들이다. 직관은 직통으로 만나는 것이다. 깨우침의 날벼락이 거기서 빚어지는 건 그 때문이다. 달마는 부처마음을 소통하기 위해서 왔을 뿐 아니라, 중국인들에게서 기존의 신념을 버리고 불교를 취하도록 해야 하는 '스토리셀링'까지도 해야 했다. 이 사람이 커뮤니케이션의 도사가 되지 않을 수 없었던 까닭은 거기에 있다. 이상국 편집에디터 isomis@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편집에디터 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