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여섯 명째다.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가 어제 사퇴함에 따라 박근혜 정부의 첫 인사에서 김용준 총리 후보자를 비롯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 황철주 중소기업청장 내정자, 김학의 법무부 차관,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까지 여섯 명의 장ㆍ차관급 인사가 줄줄이 낙마했다. 청와대 비서관까지 합치면 교체됐거나 사퇴한 인사가 12명에 이른다. 그야말로 인사 참사다. 먼저 청와대 인사라인의 부실 검증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대부분 세금 탈루, 국외 비자금 조성, 외국무기 로비스트, 성접대 등의 의혹으로 물러났다. 200여개 항목의 검증 리스트만 완벽하게 점검했다면 걸러낼 수 있었던 사안이다. 청와대 민정수석을 비롯한 검증라인이 책임을 지는 게 온당하다. 자신의 허물을 잘 알면서도 돈과 명예와 권력을 모두 쥐겠다는 욕심에 고위직을 수락한 지도층의 그릇된 몸가짐도 지나칠 수 없다. 무엇보다 인사권자인 박 대통령의 책임이 무겁다. 박 대통령은 인사 대상자들을 대부분 단수로 추천했다고 한다. 대통령이 밀어부치면 설사 문제가 있더라도 참모들은 토 달기 어렵다. 인사위원회가 제 역할을 하기 쉽지 않다. 인사 난맥상은 부실 검증의 탓도 있지만 박 대통령의 자기중심적 인사가 원인 제공자인 셈이다. 그 같은 인사 스타일이 달라지지 않는 한 인사 사고는 언제든 재연될 수 있다는 얘기다. 정권 초 인사실패는 국정 추동력의 저하로 이어진다. 새 정부의 비전과 철학을 펼쳐나가기 어렵다. 이명박 정부가 '고소영, 강부자 내각' 등으로 출범 초 우왕좌왕했던 게 단적인 예다. 걱정은 국정 운영의 혼란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국민의 정부에 대한 불신, 지도층에 대한 냉소가 밑바닥까지 번져 자칫 사회가, 나라 전체가 흔들릴 수도 있다. 인사가 만사인 이유다. 정권의 명운을 가를 천금같은 시간을 인사 난맥으로 허송하는 것 안타까운 일이다. 상황이 더 악화하기 전에 잘못된 근본 원인을 찾아 고쳐야 한다. 박 대통령은 인사사고의 실체를 명확하게 파악해 사과할 것은 사과하고 문책할 것은 문책해야 한다. 무엇보다 '나홀로 인사' 스타일을 버려야 한다. 인사에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감동이 있어야 한다. 인사가 실패하면 대통령이 실패하고 국민은 불행해진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