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최근 미국과 유럽의 재정위기로 선진경제권의 지속성장여부가 불투명한 가운데 오는 2015년부터 세계경제의 중심축이 신흥경제권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17일 발표한 ‘신흥경제권 전망과 대응과제’ 보고서를 통해 “1995년 세계 GDP의 3분의1에 불과했던 신흥경제권의 비중이 2010년 현재 45% 수준에 도달했으며 2015년 50%, 2020년 55%로 선진경제권을 추월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선진경제권·신흥경제권의 분류는 IMF 기준에 따른 것으로 선진경제권은 소득·산업발달 수준, 인적개발정도가 높은 미국, 일본, 유럽 주요국 등 34개국이며,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4룡(한국, 싱가포르, 대만, 홍콩)도 포함된다. 신흥경제권은 중국, 인도, 러시아 등 선진경제권 이외 150개 국가들로 구성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선진경제권 국가들의 경제발전단계가 성숙기에서 쇠퇴기로 접어드는 조짐인 반면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공)를 포함 최근 급부상 중인 인도네시아, 베트남, 터키 등 신흥경제권 국가들은 산업화가 진전되고 국민소득이 증가하는 등 성장활력이 높아지는 양상이다.대한상의는 1만달러 이상 중산층인구 중에서 신흥경제권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0년 현재 40%(5억6000만명)에서 2015년에는 52%(9억5000만명), 2020년 61%(14억6000만명) 등으로 높아지며 선진경제권을 압도할 것으로 전망하고 신흥경제권 시장의 발전잠재력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생산활동에 참여가능한 젊은 인구가 많다는 것도 신흥경제국의 성장 전망을 밝게 했다. 보고서는 “선진경제권의 경우 40세 이상 고령인구가 절반(50%)인 반면 신흥경제권의 40세 미만 젊은 인구는 72%에 달해 생산과 구매활동이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했다. 이같은 전망에 따라 대한상의는 신흥경제권 시대를 한국의 지속성장기회로 활용해야 하며, 저개발국과의 공생발전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한상의는 보고서를 통해 “선진경제권은 경제개발의 노하우를 이미 잊었고 신흥경제권은 선진기술을 도입,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한국이 갖고 있는 새마을운동과 경제개발계획, 산업화 및 도시화 추진경험 등을 토대로 저개발국의 경제발전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지구촌에 공생발전의 모델을 전파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상의는 “저개발국의 경제발전과 사회개발을 도와주는 한편 우리 중소기업이나 내수서비스산업이 후발개도국으로 진출하는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동남아지역 산업기지화, 중남미 및 아프리카지역 사회개발사업, 중동 및 중앙아시아지역 석유화학산업단지 조성사업, 중동지역 신도시 건설사업 등 지구촌 곳곳에 구축한 경제개발 네트워크를 한류전파와 한국제품 수출의 교두보로 활용할 것을 주문했다. 박종남 대한상의 상무는 ”많은 후발개도국들이 한국형 발전모델을 따르고, 한국식 산업발전과 설비투자를 추진한다면 향후 막대한 이득이 이어질 것“이라면서 "미래를 내다보고 성장잠재력이 큰 신흥경제권 투자에 나설 때이며, 당장 제품을 파는 일보다 경제발전을 지원하는 등 신뢰와 호감을 얻는 일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이창환 기자 goldfish@ⓒ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