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임종한 인하대 산업의학과 교수...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인천시로부터 석면관리합동협의회 위원으로 선정됐다는 말은 들었지만 아직 단 한 번도 석면의 안전한 처리와 관련해 자문해달라는 요청을 받은 적이 없다."인천시가 최근 구도심재개발 공사와 관련해 민-관 합동으로 구성한 '석면관리합동협의회'의 민간 전문위원으로 위촉된 임종한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교수(49)의 말이다. 시가 말로만 석면 대책을 세운다고 해 놓고선 실제론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질책이었다. 지난달 29일 아시아경제 기자와 만난 임교수는 석면의 위험성에 대해 "'침묵의 살인자'로 부르는 것은 그만큼 위험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아직까지 석면에 어느정도 어떻게 노출되면 위험하다는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없다. 다만 공기 1㎥당 석면 입자가 6개 이상이 검출돼서는 안 된다는 '실내환경기준'만 제시돼 있을 뿐이다.이에 대해 임 교수는 "1㎥당 석면 입자 6개라는 것은 굉장히 미세한 양"이라며 "이러게 작은 양일지라도 석면이 일단 몸 속에 들어가면 제거가 안 돼 몸속에서 만성 염증을 일으킨다. 특히 흉막에 얽혀서 최대 30년~50년 사이의 잠복기를 거쳐 석면 폐증이나 폐암을 일으킨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렇게 발병한 병의 경우 진단 후 거의 대부분 사망으로 이어지는 등 치료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임 교수의 말이다. 이에 따라 임 교수는 인천 지역의 구도심 재개발 공사에 대한 철저한 관리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구도심의 옛 건축물들의 경우 최근 지어진 건축물들보다 석면재가 훨씬 많이 사용됐고, 그만큼 공사 과정에서 석면이 다량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임 교수는 우선 재개발 지역의 정확ㆍ정밀한 실사를 통해 석면 지도를 만든 후 전문 철거 업체에게 석면 철거를 맡겨 석면이 비산되지 않도록 현장을 밀봉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철거 공사 현장의 공기 중 석면 농도는 물론 토양ㆍ먼지속 석면 농도까지 조사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공개해야 한다는 게 임 교수의 지적이다. 임 교수는 마지막으로 "석면 실태 조사ㆍ철거 과정을 감시ㆍ확인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인천시는 지난 5일 최근 인천대 옛 도화캠퍼스 석면누출 사고를 계기로 도심 재개발사업에서 폐석면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민ㆍ관 공동조직인 '석면관리 합동협의회' 활동을 확대ㆍ강화하고, 개발현장 조사와 공기 중 석면농도 검사를 일일이 해 그 결과를 주변 주민 등에게 공개할 방침이다. 또 석면철거 작업에 관여할 기관과 업체 사이에는 석면정보를 공유하도록 전산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장비ㆍ인력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김봉수 기자 bskim@<ⓒ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김봉수 기자 bskim@ⓒ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