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구진, 빈혈치료 가능한 기능성 쌀 생산기술 개발

안진흥 교수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철분과 아연 함량이 증가돼 빈혈 치료가 가능한 기능성 쌀 생산기술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교육과학기술부는 21세기 프론티어 작물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단장 최양도)의 지원을 받은 포스텍 안진흥 교수팀이 빈혈치료가 가능한 기능성 쌀을 생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교과부에 따르면 안진흥 교수팀은 벼의 'OsNAS3' 유전자 기능을 활성화시켜 철분과 아연 함량이 대폭 증가된 쌀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이는 미량 원소 결핍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능성 종자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에 22일 게재됐다.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세계 인구의 30%인 20억명 이상이 철분결핍성 빈혈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개발도상국의 어린이 및 임산부에게 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아연 섭취 부족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 등의 문제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연구팀 관계자는 "기존의 벼 종자의 철분 함량 강화를 위한 연구는 철 저장에 관여하는 페리틴(ferritin) 등과 같은 외부 유전자 도입을 통한 것이었지만, 이번 연구는 철과 아연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OsNAS3 유전자의 기능을 활성화 시킨 것"이라며 "쥐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서 빈혈 회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이 관계자는 이어 "야생형(동진벼)과 비교했을 때 철분은 2.9배, 아연은 2.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종자의 철 형태를 분석한 결과, 흡수율이 떨어진다고 알려진 피틱산(Phytic acid)에 결합한 철의 양은 동일했으나 금속 이온의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니코티아니민과 결합한 철의 양은 7배 가량 증가했다"고 밝혔다. 빈혈 유발 쥐를 통한 실험에서도 동진벼 종자를 먹인 그룹에 비해 빈혈로부터 회복이 현저하게 빠르게 진행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향후 철과 아연이 강화된 벼 품종을 개발하면 철과 아연 결핍으로 인한 빈혈, 면역력 저하 등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능성 쌀 시장 선점을 통한 국제 경쟁력 향상도 기대된다"고 말했다.김철현 기자 kc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보과학부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