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메타플랜트 통합물류센터 드론 투입
현대글로비스가 카메라 비전 기술을 적용한 '자율 비행 드론'을 물류센터 재고 관리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현대글로비스는 상반기부터 자율 비행 드론 2대를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통합물류센터에 투입해 자동차 반조립 부품(KD) 재고조사에 활용하고 있다. 기존 육안을 통한 재고 조사 대비 시간이 1회 평균 300분에서 30분으로 90% 이상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지상 3.5m 이상에 위치하거나 사각지대에 있어 사람이 놓치기 쉬운 물품의 재고를 쉽게 파악하고,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 재고 조사가 가능해 업무 효율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드론은 기체 이동 시 거리와 속도를 추정하는 컴퓨터비전기술(VIO)과 관성측정장치(IMU)를 이용해 물류센터 내에서 자율 비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보관 중인 물품의 위치를 확보해 재고를 파악할 수 있도록 어안 카메라와 스테레오 카메라, 거리센서, 가속도·각속도 센서 등을 갖췄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드론에 장착된 어안 카메라를 통해 모서리와 패턴 같은 특징점을 추출하고, 가속도·각속도 센서가 물품의 위치를 계산,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높낮이를 추정하는 등 다양한 기술의 조합이 이뤄져 재고 조사를 무리 없이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상용화된 드론 대부분은 GPS를 기반으로 움직여 도심이나 건물 내부 등에서는 정교한 작동에 한계가 있지만, 현대글로비스가 도입한 드론은 카메라와 비전 기술을 활용해 GPS 없이도 실내에서 자유롭게 비행을 할 수 있다. 드론 배터리의 충전 정도 및 수명의 실시간 측정과 배터리 교체는 이·착륙 시설인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인력의 도움 없이 자동으로 진행된다.
지금 뜨는 뉴스
현대글로비스는 HMGMA내 CC에 드론 2대를 추가 도입할 예정이며 운영 중인 타 물류센터에도 드론 활용 재고조사 기술 도입을 검토 중이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급변하는 물류 산업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신기술 확보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