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산업·공공기관 87곳 '전략보고회'
AI·디지털, 반도체, 문화콘텐츠 등 분야

광주시가 오는 2030년까지 인공지능(AI)·디지털, 반도체, 문화콘텐츠 등 전략산업의 성장을 이끌 산업기술 인재와 미래교육 기반 인재 81만명을 양성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광주시는 11일 광주실감콘텐츠큐브(GCC) VX스튜디오에서 교육계, 경제단체, 산업계, 공공기관 등 87개 기관·단체와 함께 '2030 광주 인재양성전략 보고회'를 개최했다.
시는 이날 보고회를 통해 인재와 함께 발전하는 비전을 제시하고, 기업들이 광주와 함께 성장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투자를 유인하는 계기로 삼을 방침이다.
이날 보고회에는 전남대·조선대·광주대·호남대·GIST 등 지역대학과 직업계 고등학교·광주인력개발원 등 교육기관, 광주경영자총협회·광주전남벤처기업협회·광주산학연협의회 등 경제단체, 한국자산관리공사 광주전남본부·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금융감독원 광주전남지원·기술보증기금 호남지역본부 등 금융공공기관, 광주지방중소벤처기업청·광주지방노동청 등 중앙행정기관, 광주시·자치구·의회·교육청 등 지방행정기관, 산업계 등 87개 기관·단체 250여명이 참석했다.
시는 '광주의 미래를 밝히는 LIGHT 인재 양성'이라는 비전 아래 ▲인공지능(AI)·디지털, 반도체, 문화콘텐츠 등 전략산업을 이끌 산업기술 인력 35만명 ▲미래교육도시 기반 확산을 위한 인재 46만명 등 오는 2030년까지 총 81만명의 인재 양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시는 유·초·중·고부터 대학·대학원, 실무 전문으로 이어지는 뿌리부터 튼튼한 인재 양성 사다리를 구축하고, AI·디지털·반도체·문화콘텐츠 등 지역 핵심 전략산업과 연계한 교육-산업 협력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 인재-기업의 인력 미스매칭 해소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맞춤형 실무역량을 높일 계획이다.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이 있으나 자본이 부족해 당장 정규직 채용이 어려운 스타트업 기업들에게 인력을 공급하는 채용형 인턴십 프로그램도 확대 추진한다.
시는 지·산·학·연 거버넌스 체계를 강화하고, 광주에서 배우고 창업하고 정착하는 인재 양성 선순환 구조 실현을 위한 시범 사업인 매칭데이도 추진할 계획이다.
강기정 시장은 "과거의 기업들은 '누가 광주까지 가서 인재를 양성하느냐'는 말을 들었으나, 이제 기업들은 '인재 때문에 광주에 간다'고 말한다"며 "300여개 AI 기업이 광주를 선택했고, 기업들은 광주를 택한 이유로 국가AI데이터센터 등 인프라도 있지만, 가장 큰 매력은 인재라고 입을 모은다"고 말했다.
강 시장은 이어 "결국 인재를 키워 광주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야 한다. 인재가 힘이다"며 "더는 일자리가 없어 청년들이 광주를 떠나지 않고, 더 많은 기업이 인재를 찾아 광주에 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고미아 ㈜위치스 대표, 김창수 ㈜에임퓨처 대표, 윤희진 에이직랜드 팀장, 이선관 고스트패스 대표, 김수형 전남대 AI산업단장, 손윤철 조선대 반도체융합학과 교수, 김성철 광주인력개발원 그룹장, 김대들 광주형마이스터고 교감, 박성진 GCC사관학교 교육생, 송자연 늘봄마인드 대표(AI사관학교 수료생) 등 10개 교육기관과 기업, 교육생 대표가 영상을 통해 산업 발전을 이끌 인재 양성 노력과 기업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이날 보고회에서는 정제평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장, 선미정 광주시 대학정책팀장, 서형섭 광주경영자총협회 본부장이 ▲우수 인재 양성 ▲일자리 창출 통한 지역 정착 ▲지속가능한 인재양성 생태계 구축 등 81만명 인재 양성을 통한 광주발전을 다짐하는 '공동결의문'을 낭독하고, 17개 기관·단체 대표들이 결의서에 서명했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