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FISITA 월드 모빌리티 컨퍼런스 참가
한국인 최초 FISITA 회장…김창환 부사장 임기 시작
현대자동차그룹이 세계 자동차공학회 회원들과 미래 모빌리티 기술 비전을 공유했다.
현대차그룹은 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세계자동차공학회연합(FISITA)이 주최하는 'FISITA 월드 모빌리티 컨퍼런스 2025'에 참가해 기조연설과 신형 넥쏘 전시 등을 진행했다고 4일 밝혔다.

FISITA는 세계 36개국 자동차공학회가 참여하는 자동차 분야 세계 최대 규모의 학술기관 연합체로, 약 21만명의 자동차 연구원들이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격년으로 글로벌 모빌리티 산업의 기술 리더와 전문가 등 약 2000명이 모여 기술을 공유하고 네트워킹을 강화하는 컨퍼런스를 열고 있다.
특히 한국인 최초 FISITA 회장으로 선출된 현대차·기아 전동화에너지솔루션담당 김창환 부사장이 이달부터 2년간 임기를 시작한다. 김 부사장은 FISITA 회장으로, 자동차공학회 이사회 및 위원회를 주재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이번 컨퍼런스의 유일한 프라임 파트너 자격으로, 미래 기술 비전을 발표하고 전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는 이날 기조연설을 통해 현대차그룹의 미래 기술 비전을 세계 모빌리티 산업 리더 및 엔지니어들과 공유했다.
그는 "현대차그룹은 이동수단 뿐만 아니라 인류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 모빌리티 기술의 경계를 넓히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HMGMA의 제조 자동화 시스템 ▲자율주행 ▲배터리 및 연료전지 시스템 ▲미국 내 HTWO 수소 충전소 등과 관련한 기술 개발 현황을 공개했다.
이어진 '현대차그룹과의 대화' 세션에서는 무뇨스 사장을 비롯해 글로벌 주요 모빌리티 업계 리더들이 모여 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하고 네트워킹을 강화했다. 무뇨스 사장은 "저 역시 엔지니어 출신으로 동료 엔지니어들과 현대차의 미래 모빌리티 개발 여정을 공유하게 돼 매우 뜻깊다"고 밝혔다.

행사 이튿날인 4일부터는 현대차·기아 소속 연구원들이 현대차그룹의 유럽 내 파트너십 사례를 소개하고 협력사와 함께 개발한 모빌리티 기술을 공개하는 특별 세션이 진행된다. 현대차그룹은 유럽 지역 기술 파트너십 사례로 ▲버추얼 성능 검증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활용 사례 ▲고장 예측 및 관리(PHM) 기술 기반 SDV 차량 섀시 신뢰성 확보 연구 ▲EV 조화성능 구현을 위한 부싱(Bushing) 신기술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 현대차그룹은 수소 모빌리티 기술력을 강조하는 전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수소사회 실현을 향한 올곧은 신념'을 주제로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신형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와 넥쏘에 적용된 연료전지시스템을 선보인다.
지금 뜨는 뉴스
김창환 부사장(FISITA 회장)은 "모빌리티 산업이 대전환기를 맞이한 가운데 FISITA는 글로벌 협력과 혁신, 포용적 리더십을 통해 미래를 선도하는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임기 동안 기술의 진보가 인류의 삶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