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제11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 수립·발표
한국전력공사의 동서울변전소 증설 인허가권을 쥐고 있는 하남시가 공사 허가를 내주지 않으면서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구축 시기가 1년6개월 미뤄지게 됐다.
한국전력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11차 장기송변전설비계획'을 수립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제312차 전기위원회에서 확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지난 2월 발표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11차 전기본)'의 전력수요와 발전설비 전망을 바탕으로 2024~2038년 15년간 적용되는 송·변전설비 세부계획이다.
우선 한전은 기존에 추진 중인 하남시와 당진시의 전력망 구축 사업도 건설지연 및 계통여건 변경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준공 시기를 조정했다. 한전은 동해안 울진에서 경기도 하남까지 280㎞에 이르는 국내 최장·최대 규모의 초고압 직류 송전망(HVDC)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동해안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수도권으로 나르기 위해선 송전선로 건설의 마지막 단계인 동서울변전소 증설 공사가 필요하지만, 하남시는 주민 반대를 이유로 공사 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다. 한전과 하남시의 갈등이 장기화한 탓에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준공 시기는 내년 6월에서 2027년 12월로 1년 6개월 연기된 것이다.
한전은 호남-수도권 HVDC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계통을 재구성하고, 반도체 등 국가 첨단전략산업의 전력수요를 반영한 전력공급 인프라를 확충하기로 했다. 호남-수도권 HVDC는 현재의 전압형 HVDC 기술 수준 변환소 부지확보 및 배후계통 보강여건 등을 고려해 기존 4GW급 2개 루트(2036년 준공)를 2GW급 4개 루트(2031·2036·2038년 단계별 준공)로 변경했다.
또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필요한 10GW 이상 대규모 전력을 적기에 공급하기 위해 산단 내 변전소 신설과 기존 전력망과의 연계 등의 설비계획도 포함했다.
한전은 이번 설비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2038년까지 72조8000억원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자재비 상승과 지중송전선로 증가 등이 원인으로 10차 계획(56조5000억원) 대비 16조300억원 증가한 규모다. 한전은 이번 설비계획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생산 파급 약 134조원, 고용 유발은 약 48만명 수준으로 전망했다.
한전 관계자는 "지난 2월 제정된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통해 건설사업 추진 동력을 높이고, 주민친화형 변전소 확대와 중립적 전자파 관리체계 구축으로 전력설비에 대한 주민 수용성을 높여 전력망을 적기에 건설할 계획"이라며 "또 11차 전기본에 반영된 대형 원전 등 신규 발전소의 입지가 확정되면 최적의 계통구성방안을 수립하고, 재생에너지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저장장치(ESS) 중앙계약시장 물량이 전력계통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계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