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전문가 조사 결과
"30% 관세, 대미 수출 70% 줄여"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對中) 관세가 올해 말까지 30% 수준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문가 조사 결과가 나왔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애널리스트, 이코노미스트, 투자자 등 전문가 22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이같이 발표했다.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관세 전쟁을 이어가던 미·중은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고위급 협상을 한 뒤 90일간 상호관세율을 각각 115%포인트씩 내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대중 관세율은 30%, 중국의 대미 관세율은 10%가 됐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현재 대중 관세율은 중기적으로 중국의 대미 수출의 70%를 없앨 만큼 높다고 설명했다.
응답자들은 미·중이 관세 전쟁을 휴전한 상황이지만, 90일 이후에도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의 대미 수출을 심각하게 제한하는 수준의 관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조사 결과 6개월 뒤 대중 관세 예상 중간값은 30%로 나타났다. 무역 협정 체결 후 최종 대중 관세 예상 중간값은 20%로 조사됐다.
켈리 첸 DNB 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무역 협상은 표면적 합의에 그칠 것으로 예상한다"며 "2026년 미국 중간선거까지는 미·중의 입장이 실질적으로 크게 변할 만한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 이 선거가 합의의 잠재적 마감 시한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중 무역 갈등 해결에 불확실성이 드리우며 미래에 대한 기대도 엇갈리고 있다. 설문 응답자 중 7명은 6개월 내 대중 관세가 30%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6명은 30%보다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부과한 대중 관세가 유지될 것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를 철회하면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층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추산에 따르면 해당 관세는 평균 12% 수준이다.
지금 뜨는 뉴스
응답자 중 일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예측 불가능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예상하려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샘 조킴 EFG 자산운용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는 우리가 아직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며, 합의가 반드시 유지된다는 보장이 없다는 점을 경고하는 사례가 돼야 한다"며 "미국의 통상 정책에 대한 높은 불확실성으로 인한 리스크는 여전히 크다"고 말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