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40개 의대 총장·학장 서한문
"학칙 따라 오늘 지나면 유급,
확정 후 교육부에 제출"
30일 미복귀 의대생의 유급 확정을 앞두고 전국 40개 의대 총장과 학장단이 마지막으로 의대생들의 복귀를 호소했다.
이날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와 의대 학장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의대 학생 여러분께 복귀를 요청하는 마지막 말씀'이라는 제목의 서한문에서 미복귀 의대생을 향해 "오늘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올해는 더 이상 학교로 돌아올 수 없다"고 했다.
의대 총장·학장단은 "의대 교육 정상화만을 생각해 정부에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확정해줄 것을 건의했고, 정부는 이를 수용했다"면서 "여러분이 강의실로 돌아오기만을 바라고 요청했지만, 수업 참여율은 많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도 복귀를 망설이고 있거나, 5월 이후에도 복귀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면 오늘이 복귀할 수 있는 마지막 날인 만큼 돌아오기를 간곡히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교육부가 KAMC와 함께 지난 25일부터 의대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7.9%가 '복귀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수업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수가 실제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수보다 2~3배 많은 것을 확인했다"며 "학생들이 서로의 의사를 확인한 이번 조사가 수업 복귀의 계기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했다. 그러나 실제 의대생들의 수업 참여율은 지난 17일 발표한 평균 26%에서 크게 오르지 않고 있다.
의대 총장·학장단은 "일부 학생들은 6월 이후 새 정부가 출범하면 학사 유연화 조치 등을 통해 미복귀자를 구제해줄 것이라는 막연한 루머를 믿고 있다"면서 "이는 확인되지 않고, 확인할 수도 없는 헛된 기대"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오늘까지 복귀하지 않는다면 (미복귀자는) 학칙에 따라 유급될 것이며, (학교는) 유급 대상자를 교육부에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각 의대에 공문을 보내, 30일 기준으로 유급 대상자를 확정해달라고 요청해놓은 상태다. 지난해와 같은 '학사 유연화 조치'는 올해 실시하지 않는다.
의대 총장·학장단은 "유급이 확정되면 교육 과정을 조정하는 학사 유연화 조치로 복귀할 수 없고, 유급을 구제할 수 있는 방법도 없다"고 했다.
7월 혹은 8월 복귀에 대해서는 "이미 1학기 교육과정이 끝난 후라 의대생을 위해 2학기에 별도 교육과정을 만들 수는 없다"면서 "한 학년에서 이미 복귀한 학생과 이후에 복귀한 학생을 위한 두 개의 다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은 교육 여건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그러면서 "오늘까지 복귀하지 않는다면 올해 복귀는 어렵고, 여러분은 천금같이 소중한 1년의 시간을 또다시 잃어버릴 수밖에 없다"며 "오늘 24시를 기준으로 유급이 확정되니, 이 시간까지 수업 참여 의사를 학교에 알려달라"고 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