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미국산' AI 슈퍼컴 생산
파트너사 5곳 중 4곳 대만 기업, 1곳은 한국계 앰코테크놀로지
인공지능(AI) 칩 제조업체 엔비디아가 향후 4년간 파트너사들과 미국에서 최대 5000억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AI 인프라를 구축한다.
엔비디아는 14일(현지시간) 자사 블로그를 통해 이 같은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위해 100만평방피트(9만3000㎡) 이상의 제조 공간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최신 AI 칩 블랙웰을 이미 애리조나 피닉스에 있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으며 앰코테크놀로지, 실리콘웨어 정밀산업과 패키징 및 테스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텍사스에서는 폭스콘, 위스트론과 함께 슈퍼컴퓨터 제조 공장을 건설 중이며 향후 12~15개월 안에 대량 생산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AI 칩뿐만 아니라 AI 슈퍼컴퓨터 등 AI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를 미국 내에서 생산하겠다는 것이다.
엔비디아는 이번 투자를 통한 생산이 미국 내에서 제조되는 AI 슈퍼컴퓨터의 첫 사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슈퍼컴퓨터는 AI 연산을 처리하는 데이터센터에 사용된다.
엔비디아는 제조 시설의 설계와 운영을 위해 자사 기술을 활용한 공장의 디지털 트윈을 만들고 맞춤형 자동화를 위한 로봇도 자체 제작할 예정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내 제조 역량을 확대해 AI 칩과 슈퍼컴퓨터 증가 수요를 맞추고 공급망을 강화할 수 있다"고 했다.
엔비디아의 이번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기업들의 미국 내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1일 스마트폰, 컴퓨터, 기타 기술 제품 및 부품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면서 수입 반도체에 대한 새로운 관세 조치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날 엔비디아가 언급한 파트너사 중에는 한국계 앰코테크놀로지도 포함돼 눈길을 끈다. 앰코테크놀로지는 아남그룹 창업자인 고 김향수 명예회장이 1968년 반도체 사업을 시작한 이후 장남인 김주진 회장이 미국에서 영업과 마케팅을 위해 앰코일렉트로닉스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립됐다.
지금 뜨는 뉴스
1990년대 말 아남그룹이 해체되면서 앰코일렉트로닉스는 당시 아남반도체의 반도체 패키징 부문을 인수했고, 1998년 나스닥에 상장하면서 현재의 앰코테크놀로지로 사명을 변경했다. 앰코테크놀로지는 현재 세계 2위 반도체 패키징 업체로 성장하면서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과도 거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