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위축에 술자리마저 급감
지난해 4분기 음식점 주류매입액, 전년 대비 5.5% 감소
지난해 말 불법계엄 영향 등으로 소비심리가 꽁꽁 얼어붙으면서 술자리마저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8일 한국신용데이터가 발간한 '소상공인 데이터 인사이트-주류 매입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음식점 주류매입액 평균은 약 137만원으로 전년 동기(약 145만원)보다 5.5% 급감했다.
한국신용데이터가 경영 관리 서비스 '캐시노트'를 이용 중인 사업장 중 2023~2024년 주류 매입 경험이 있는 사업장 4만여곳의 데이터를 추출해 분석한 결과 음식점 주류매입액은 지난해 1~2분기 142만원대에서 3분기 139만원, 4분기 137만원으로 내리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연간 월평균 주류매입액은 약 139만원으로 2023년 대비 2.7% 감소했다. 한국신용데이터 관계자는 "지난해 말 내수 부진에 계엄 등이 겹쳐서 각종 심리지수가 하락하는 등 소비심리가 위축돼 주류매입액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업과 소비자 등 모든 민간 경제주체의 경제 상황 심리를 나타내는 경제심리지수(ESI)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꾸준히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ESI·순환변동치는 지난해 7월 93.6 이후 매달 하락해 지난해 12월에는 90.2로 내렸으며 지난달 기준으로는 87.3까지 쪼그라들었다. ESI는 100을 밑돌면 기업과 가계 등 모든 민간 경제주체의 경제 심리가 과거보다 나빠졌다는 의미다.
특히 지난해 연말 특수를 앞두고 계엄사태, 제주항공 참사 등으로 모임 등이 취소된 탓에 소상공인들의 타격이 컸을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소상공인연합회가 지난해 소상공인 16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8.4%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매출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매출이 50% 이상 감소했다는 소상공인이 36.0%로 가장 많았고 '30~50% 감소' 25.5%, '10~30% 감소' 21.7%, '10% 미만 감소' 5.2%로 조사됐다.
지금 뜨는 뉴스
폐업도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세청 폐업 신고 사업자(개인·법인)는 2023년 98만6487명으로 역대 가장 많았는데 소상공인 업계는 지난해 폐업 신고 사업자는 100만명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산한다. 한 주류업계 관계자는 "불황 여파로 상권 전반에서 손님이 줄었고 폐업하는 음식점도 많다”고 전했다. 여기에 탄핵 선고 지연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이 소비심리 위축 장기화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