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복귀·의대 교육 정상화' 발표
3월 말까지 의대생 복귀하면
2026년도 의대 정원 3058명
정부가 의대 학장과 대학 총장들의 의견을 조건부로 수용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말까지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할 경우 2026년도 의대 증원은 하지 않고, ‘의대 정원 3058명’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7일 오후 2시 교육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학생 복귀 및 의대 교육 정상화’ 브리핑을 연다. 이 자리에는 양오봉·이해우 의대선진화를위한총장협의회(의총협) 공동회장, 이종태 의대협회(KAMC) 이사장이 참석해 정부에 건의문을 전달하고,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이를 수용해 2026학년도 의대 교육 지원 방안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의대 증원에 반발한 의대생들의 수업거부로 향후 2년간 ‘의사 배출 0명’이 될 수 있다는 지적까지 나오자, 일단 의대 교육 파행을 막고 교육 정상화에 시급히 나서야 한다는 요구를 받아들인 것이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에 따르면 전국 24학번 이상 재학생의 97%가 올 1학기 휴학하겠다고 밝혔고, 가톨릭대(예과·본과)와 제주대·고신대·강원대·울산대(본과)는 돌아오지 않는 의대생을 기다리며 개강을 미뤘다.
이번 ‘3058명’ 안에는 이런 의대생들의 복귀가 전제로 달렸다. 의총협은 건의문에 ‘정상적인 학사 일정에 따라 수업 이수가 가능한 3월 28일 이전까지 전학년 재학생 복귀’라는 단서를 넣었다.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붕괴를 막기 위한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방향에는 공감하지만, 현 시점에서는 의대 교육 붕괴를 막는 것이 우선이라는 얘기다.
지금 뜨는 뉴스
2027학년도부터는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추계위)에서 의대 정원을 심의하고 복지부·교육부 장관이 협의해 정하게 된다. 2026년도에 한해 추계위서 합의하지 못하면 대학 총장과 교육·복지부 장관과 협의해 정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3058명’ 안은 내년도에만 적용되는 한시적인 것이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