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형·46파이 원통형 배터리 개발 '속도'
SK엔무브 기술 힘입어 냉각액 선도 목표
박기수 "개발까지 2년…열폭주 제어 가능"
SK온이 전기차 배터리 발열을 막기 위해 차세대 열 관리 기술인 '액침 냉각'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SK온은 각형·원통형 배터리 개발에 있어서는 국내 다른 배터리 회사와 비교했을 때 후발주자다. 이들 배터리 기술을 따라잡는 한편, 액침 냉각이라는 신기술 영역에서는 그룹 윤활유 계열사와 손잡고 기술 격차를 벌리겠다는 전략을 펴고 있다.
SK온은 5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에서 액침 냉각 기술이 적용된 전기차 배터리 모형을 전시했다. SK온은 모형에 투명한 판을 설치해 전기차 배터리에 액침 냉각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할 수 있게 했다. 보라색 빛이 비추는 부분이 전기차 배터리 모듈이 위치한 공간이다. 이 공간은 액침 냉각액으로 가득 채워 모듈이 완전히 잠기도록 했다.
윤활기유를 원료로 한 냉각액은 모듈을 거쳐 순환하면서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낮춘다.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해 온도가 높아진 냉각액은 서큘레이터가 위치한 곳으로 흘러가 다시 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러한 순환 과정을 통해 배터리팩에 담긴 냉각액은 반영구적으로 사용된다. 액침 냉각 기술을 활용해 배터리 열을 식히면 충전 속도를 향상할 수 있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앞서 박기수 기술개발(R&D)부문장은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SK엔무브와 협업해 차별화된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며 "개발 단계까지 약 2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전기차용 액침 냉각 기술은 자동차 회사의 (수요에 맞춰) 진행돼야 하는 일"이라며 "이를 위한 콘택트(접촉)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액침 냉각 기술은 냉각 성능이 우수해 급속 충전에 매우 유리한 구조"라며 "또 열 폭주 현상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박 부문장은 액침 냉각 기술이 적용되더라도 판매되는 전기차 가격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봤다. 그는 "액침 냉각 기술 자체로만 하면 가격이 올라간다"며 "하지만 기존에 필요한 여러 방호 소재를 모두 뺄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상태에서 가격은 비슷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