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車·스마트홈 연동
AI 생태계 넓히는 중국
3단 폴더블폰·롤러블 노트북 등
"中 기업 한발 앞서 나간다"
"‘샤오 AI’야, 창문 열어줘"
중국의 IT 기업 샤오미가 만든 전기차 SU7의 뒷좌석에 앉아서 이 말 한마디 던지자 창문이 스르륵 열렸다. 샤오 AI라고 불리는 이 인공지능(AI) 기능은 샤오미가 스마트폰에서 자동차까지 영역을 넓힌 AI 생태계의 핵심이다.
4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 비아 전시장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5(MWC 2025)’에서 가장 인기 있는 부스는 샤오미였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처음 선보인 최신 전기차 모델인 울트라 SU7과 기존 SU7 앞에는 이틀 동안 무려 1200명이 시승을 위해 줄을 섰다. 스마트폰·웨어러블·사물인터넷(IoT)은 물론 자동차까지 부스에 총 망라됐다.
![[르포]"창문 열어줘" 말하자 스르륵…1200명 샤오미 전기차 앞에 줄섰다[MWC현장]](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5030509271354661_1741134433.jpg)
샤오미 스마트폰을 손에 쥔 채로 전기차를 직접 타보니 차량의 하이퍼(Hyper) 운영체제로 연결돼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었다. 자동차가 집에 도착한 것을 인식하자, 창문 커튼이 자동으로 열리고 샤오미 로봇청소기가 작동하기 시작했다. 자동차와 휴대폰, 스마트홈이 완벽하게 연동되는 생태계를 보여주는 순간이었다. 독일에서 온 마틴 씨는 샤오미 전기차를 체험한 후 "중국 회사들이 이렇게까지 기술력이 좋은지 몰랐다"며 "AI는 이제 기본이고, 그것을 어떻게 실생활에 접목하느냐가 관건인데, 중국 기업들이 한발 앞서 나가고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올해 MWC 전시장은 샤오미 같은 중국 기업의 신기술이 지배했다. 중국 기업들은 단순히 AI만이 아닌 독창적 하드웨어와 실용 기능으로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딥페이크 잡는 휴대폰에 3D 노트북까지
"삐빅. 딥페이크 영상일 확률이 94%입니다."
중국 스마트폰 기업 ‘아너’ 부스에 전시된 ‘매직7’ 프로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나온 경고 메시지다. 화면 위 버튼을 누르자 ‘감지 중’이라는 표시가 몇 초간 돌더니 진위를 즉시 판별했다. 영국에서 온 관람객 크리스 씨는 "영상 피싱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보안책으로 유용할 것 같다"고 말했다.
![[르포]"창문 열어줘" 말하자 스르륵…1200명 샤오미 전기차 앞에 줄섰다[MWC현장]](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5030509300454676_1741134605.jpg)
중국 기업들의 혁신 경쟁은 디스플레이 영역에서도 치열했다. 전시관 1층 홀 대부분을 채운 화웨이 부스 테이블 위에는 3단 폴더블폰이 ‘인기쟁이’였다. 두 번 접히는 혁신적인 설계로, 펼치면 10인치 태블릿, 접으면 일반 스마트폰으로 변신했다. 관람객들은 연신 이 기기를 접었다 폈다 했다.
![[르포]"창문 열어줘" 말하자 스르륵…1200명 샤오미 전기차 앞에 줄섰다[MWC현장]](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5030509281554665_1741134495.jpg)
레노버 부스에서는 검은색 노트북 위의 작은 버튼이 눈길을 끌었다. 직원이 그 버튼을 누르자 노트북 화면이 마치 살아 움직이는 듯 천천히 위로 말려 올라갔다. 주변 관람객들의 탄성 소리와 함께 유튜버와 기자들의 카메라가 일제히 롤러블 노트북을 향했다. 레노버는 특수 안경 없이도 3D 화면을 볼 수 있는 노트북도 선보였다. 게임 화면이 시연 중이었는데, 화면 속 자동차가 마치 실제로 튀어나올 것처럼 살아 움직였다. 이 3D 노트북의 특징은 ‘AI 링’으로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검은색 반지를 손가락에 끼고 회전시키면 화면의 메뉴가 바뀌었고,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클릭도 가능했다.
지금 뜨는 뉴스
TCL 부스에서는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종이 같은 질감의 스마트폰이 전시됐다. 이 종이질감 핸드폰은 펜 모양 버튼을 누르면 ‘이메일’ ‘업무 요약’ ‘행사 계획’ 같은 다양한 문서 작성 AI 기능을 제공했다. 기자가 ‘초대장’을 선택하고 ‘내 생일 파티’를 입력하자 몇 초 만에 완성된 초대장이 화면에 나타났다.
바르셀로나(스페인)=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