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료·돌봄 통합판정체계 도입 앞두고 대상자 재조사
의료·돌봄 맞춤형 지원 강화…51명 추가 선정
경북 의성군이 노인 의료·돌봄 통합판정체계 조기 도입을 앞두고 보건의료 대상자 재조사를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간담회는 2025년 보건복지부의 의료·돌봄 통합지원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마련됐다.
이번 정책은 기존 노인 중심에서 장애인까지 포함하는 통합판정체계를 도입해 의료·돌봄 필요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군은 오는 3월부터 해당 판정체계를 조기 도입해 의료·돌봄 필요도에 따라 대상자를 전문의료, 요양병원, 장기요양, 지자체 돌봄 등 적절한 서비스 군으로 분류·연계해 개인 맞춤형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다만 사전평가 시 의사 소견서 제출이 필수여서 신규 대상자의 접근성이 낮아질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에 따라 보건소 건강 돌봄 팀은 현재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만, 보건의료 지원을 받지 않는 287명(우선 돌봄 대상자 1~3등급, 퇴원환자 204명, 보건의료 서비스 종결자 83명)을 우선 검토했다. 이 중 보건의료 지원이 시급한 59명을 선별해 심층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보건소장, 건강증진과장, 방문 보건 팀장, 의과·한의과 공중보건의사 각 1명, 보건 진료 전담 공무원 2명 등 13명이 참석했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이번 재조사를 통해 의료·돌봄이 필요한 대상자가 소외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며 "2026년 전국 시행을 앞둔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업을 선제적으로 준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참석자들은 대상자의 의료 욕구와 지원계획을 면밀히 검토한 끝에 최종적으로 51명의 보건의료 지원 대상자를 확정했다. 대상자는 오는 2월 말 통합지원회의 재상정을 거쳐 공공·민간 의료서비스를 받게 된다.
영남취재본부 권병건 기자 gb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