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통합·공존 이루어내는 장점"
조기 대선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야권 대선주자로 꼽히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국민들이 제일 바라는 건 국정이 조금이라도 안정된 모습"이라고 했다.
김 전 총리는 14일 KBS1 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헌정 질서를 회복하고 민생 경제를 살리는 것이 국민들이 바라는 것이고, 거기서 제 역할이 있다면 발언하고 행동도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 갈등 문제를 어떻게든 조정하고, 합의·통합·공존을 이루어내는 데 제가 조금 장점이 있다"며 "지금까지 그런 목소리를 내왔고 또 그런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이런 점에서 국민들이 인정해주신 부분이 있기에 서로 간에 갈등이 심각할 때 제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 전 총리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실용주의 행보를 두고 "국민적 요구를 받아들이려는 자세"라고 평가했다. 그는 "다만 당의 정체성을 당 대표가 일방적으로 쉽게 바꿔선 안 된다"며 "관련 전문가나 이해당사자들을 불러 토론한 후 변경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국민들이 상황을 납득하고 그 결과를 받아들이는 방식이 가장 좋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와의 만남 일정을 조율 중이라는 김 전 총리는 "당내에서 다양한 목소리가 못 나오는 분위기나 포용성이 없어진 분위기를 고쳐야 이 대표의 리더십이 다시 살아난다는 이야기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대통령한테 계엄이라는 막강한 권한을 준 헌법을 계속 가져갈 수 없다"며 "이번 기회에 개헌 논의를 시작해서 적절한 시점에 완료하자는 이야기들을 약속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개헌 시기에 대해선 "늦어도 내년 지방선거 때까지 개헌안이 국민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며 "개헌안을 언제부터 적용할 것이냐는 문제는 다음 대선 후보들이 약속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지금 뜨는 뉴스
김 전 총리는 친명(친이재명)계와 비명(비이재명)계의 갈등에 대해 "한팀이 돼서 대선 치르고 같이 땀 흘리고 고생하면 갈등이 풀릴 것"이라며 "그러려면 지금 당을 책임지고 있는 이른바 주류가 먼저 손을 내미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품을 넓게 해서 세력을 많이 모은 쪽이 늘 대선에서는 승리해 왔다"고 덧붙였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