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최고 작품…그러나 과대광고"
‘알파고’ 개발자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가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에 대해 "중국이 내놓은 최고의 작품"이라면서도 딥시크 열풍이 과장됐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미 CNBC 방송에 따르면 허사비스 CEO는 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AI 액션 서밋’에 앞선 기자회견에서 딥시크에 대해 "매우 뛰어난 엔지니어링을 할 수 있으며 지정학적 규모에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허사비스 CEO는 기술적 관점에서 보면 딥시크는 큰 변화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그는 "과대광고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새로운 과학적 진보는 없었다"며 "AI에서 이미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약간 과장됐다"고 덧붙였다.
미국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들이 AI 모델 개발에 막대한 금액을 쏟아붓는 가운데 딥시크는 개발 비용은 10분의 1수준으로 저렴하고 전력 소모도 적지만 주요 빅테크의 AI에 못지않은 성능을 가진 AI 모델을 출시해 전 세계에 충격을 줬다. 특히 미국이 중국으로의 최첨단 AI 칩 수출을 차단한 가운데 이 같은 성과를 내 논란이 일고, 엔비디아 주가가 폭락하기도 했다.
허사비스 CEO는 현재 AI 산업에 대해 "범용인공지능(AGI)으로 향하는 길에 있다"고 진단했다. AGI에 대해선 "인간이 가진 모든 인지 능력을 보여주는 시스템"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우리는 이제 (AGI에) 가까이 와 있다고 생각한다"며 "아마 그런 시스템이 구현되기까지 5년 정도 걸릴 수 있는데, 정말 놀라운 일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회가 그것(AGI)에 대비해야 하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가질지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전체 사회가 그것으로부터 이익을 얻도록 해야 하지만, 또한 일부 위험을 완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금 뜨는 뉴스
허사비스 CEO는 2016년 이세돌 9단과 세기의 바둑 대결을 펼친 알파고를 만든 AI 개발자다. 단백질 구조를 분석하고 약물과 상호 작용을 예측하는 AI 모델 ‘알파폴드’ 시리즈를 개발해 지난해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