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다 골목형 상점 지정에도 지원 미비
상인회 보조사업·현장 인력 부재 개선 필요
지역 골목형 상점가(소상공인 점포 밀집지역)에 대한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6일 광주 북구의회에 따르면 손혜진 의원(진보당, 용봉·매곡·일곡·삼각동)은 전날 열린 제300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이같은 주장을 언급하며 “소상공인 지원 정책의 답은 현장에 있다”고 말했다.
손 의원은 "현재 북구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골목형 상점가 31개소를 운영하고 있지만, 정작 지정 이후에 상권 자생력 확보를 위한 현실적인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다”고 지적했다.
손 의원은 "‘골목형 상점가 마케팅 지원사업’은 행정 경험 없는 상인회를 대상으로 보조금 집행이나 정산 절차 등 사전 교육·설명회 없이 무리하게 진행됐다"며 "오히려 사업에 대한 상인회의 거부감만 키웠다"고 주장했다.
이어 "올해 상인회 행정업무 전담 인력인 시장매니저 9명을 운용할 계획이지만, 효율적인 지원이 가능할지 우려스럽다"며 "상인회 회원 중 활동 지원 인력을 선발해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등 상인회가 자발적 활동에 나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 뜨는 뉴스
손 의원은 “골목형 상점가 지정 ‘전국 1위’가 유의미한 기록이 되기 위해 지역 소상공인이 체감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호남취재본부 송보현 기자 w3t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