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탄핵안 가결 이후 첫 회의 개최
"내년 금융감독 방향 조속히 정립해야"
해외 감독 당국과 지속 소통…가계대출·부동산 PF 관리 주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국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안 가결 이후 첫 긴급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월요일(16일) 시장 개장 이후 이상징후 발견 시 적시 대응하면서 비상 상황을 가정한 전사적 리스크 관리 태세를 유지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15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긴급 금융상황 전검회의를 개최하고 "현재 정치 상황에 동요하지 말고, 한치의 업무 공백 없이 시장안정과 업무 이행에 최선을 다해달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는 "경제·금융시스템의 안정적 관리능력, 자본시장 선진화 방안의 일관된 추진 등을 해외 투자자, 해외 감독 당국과 지속 소통해야 하겠다"는 계획도 덧붙였다.
올해 현안 과제는 당초 계획대로 차질 없이 이행하고 내년 금융감독 방향도 조속히 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대내외 정치·경제·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면밀한 대응이 시급하다"면서 "내년 금융감독·검사 방향에 대해서 시장과 소통해 금융회사들의 사업계획 수립·이행에 차질이 없도록 지원하는 등 경영환경 예측 가능성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계대출 관리와 부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정리·재구조화 계획 이행 등 건전성 관리 강화를 지속해 달라는 당부도 내놨다.
이 원장은 "대내외 불확실성을 면밀히 고려하여 서민·취약계층 및 지방 자금 공급 등에 차질이 없도록 유연하고 세심한 가계대출 관리 추진해야 한다"면서 "금융회사의 부실 PF 사업장 정리·재구조화 계획 이행을 적극 유도하고, 손실흡수 능력을 확충하는 등 건전성 관리 강화를 지속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기업 자금 사정에 애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히 모니터링하고, 예정된 투자나 연말 운전자금 등이 빈틈없이 공급될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불확실성이 커진 금융시장의 상황을 틈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보이스피싱, 허위정보 유포 행위 등에 대한 투자자 보호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이 원장은 "최근 불안심리를 틈탄 보이스피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활용한 허위정보 유포행위 등을 밀착 모니터링하고, 소비자피해 우려 시 소비자경보 발령 등 투자자 주의 환기 조치를 해달라"고 언급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