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EY한영 AI와 재무의 미래’ 설문
AI 도입해도 감사인 전문적 판단·의사결정 필요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의 설문조사 결과, 국내 기업 재무·회계·세무 종사자 대다수가 인공지능(AI) 도입으로 감사 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했다. 향후 ‘AI 기술 및 데이터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이 감사인의 핵심 역량이 될 전망이다.
9일 EY한영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기업의 재무·회계·세무 관련 부서 임직원 616명이 참여한 ‘2024 EY한영 AI와 재무의 미래’ 설문조사 결과 “AI 기술을 활용한 외부감사가 감사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 응답률은 82%에 달했다.
외부감사 수행 시 AI 도입을 통해 개선이 기대되는 사항으로 응답자들은 ▲감사 시간 감소 및 일정 단축(74%) ▲외부감사에 대한 기업의 대응 노력 절감(45%) ▲기업 프로세스 개선에 대한 통찰력 제공(44%) 등을 꼽았다.
64%는 AI가 외부감사에 도입되면 지금과 큰 변화 없거나 오히려 회계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회계사의 역할이 축소될 것이라고 생각한 응답자는 36%에 그쳤다.
재무·회계·세무 종사자들은 AI가 도입되는 미래 환경에서는 감사인이 갖춰야 할 역량도 바뀔 것으로 예상했다. 여기서 가장 필요한 역량으론 AI 및 데이터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69%)이 1위로 조사됐다. 주요 이해관계자와의 의사소통 능력(49%), 회계 및 감사에 대한 전문성(48%), 정보 보안 및 높은 윤리적 기준(3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광열 EY한영 감사 부문 대표는 “재무·회계·세무 종사자들은 AI가 도입되더라도 여전히 감사인의 전문적인 판단과 의사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감사인들은 향후 AI의 적극적인 활용과 데이터 분석 및 해석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EY한영은 내외부 데이터 분석, 위험 평가, 재무제표 연결 자동화 및 표준화, 데이터 구조화, 증빙 문서 요약 등에 다양한 AI 툴을 활용해 감사 업무의 효율성과 정확도, 품질을 높이고 있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