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빼고 내년 증원백지화 가능하다는 입장"
정부가 2025년도 의대 정원 증원 백지화는 불가능하다는 방침을 재확인했지만,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내년도 증원 백지화 없이는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김성근 전의교협 대변인은 9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2025년 의대 정원 증원은) 잘못된 건데 이미 시기가 조금 지났으니 그건 그대로 가고 그 뒤부터 얘기하자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고 말했다.
전날 대통령실은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 조건으로 2025·2026년 의대 증원 백지화를 요구한 것과 관련 내년도 증원은 확정돼 현실적으로 논의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다만 2026년과 그 이후 증원에 대해서는 의료계가 합리적인 안을 제시하면 논의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김 대변인은 "내년에 교육이 과연 제대로 될 것인가 하는 게 저희 교수들이 가장 큰 걱정"이라며 "특히 서울에 있는 8개 의과대학 같은 경우 지원도 없는데 학생들은 두 배가 돼서 교육을 받아야 된다. 시설, 인원 등 이런 걸 늘려놓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이 많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전의교협은 윤석열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김 대변인은 "결국은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을 밀어붙였기 때문에 생긴 결과"라며 "정책을 밀어붙인 총책임자로서 대통령께서 국민들께 사과하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김 대변인은 또 정부가 2025년 의대 정원을 예외 조항을 들어 바꿨던 만큼, 이번에도 이를 적용해 내년도 증원계획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입시에 관해서는 사실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코로나 상황에서도 입시가 2주가 미뤄진 적 있다"며 "수시 지원하시는 분들한테도 크게 피해가 가지 않는 정도로 정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아울러 김 대변인은 "더불어민주당, 개혁신당도 2025학년도 정원을 얘기해야 한다고 했고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도 2025년은 유예하자고 얘기하고 있다"며 "결국 정부를 뺀 나머지는 2025년도 정원 문제를 (다시)논의할 수 있다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지 않나, 합의점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