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44만명…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아
안 하는 이유 1위는 ‘원하는 일자리 없어서’
지난달에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청년이 7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은 지난 7월 청년층(15∼29세) 가운데 ‘쉬었음’ 인구가 44만300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같은 시기보다 4만2000명 늘어난 수치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넘어서서 같은 달 기준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쉬었음은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음에도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 이들을 말한다.
쉬었음 청년은 2013∼2017년 7월에는 20만명대였다가 2018년 30만명을 넘어섰다. 이후에도 계속 증가해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44만1000명까지 늘었다. 2022년에는 36만1000명으로 줄었으나 작년(40만2000명)부터 다시 오름세다.
연령대별로 보면 지난달 40대 쉬었음 인구는 28만4000명으로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적었다. 30대도 28만8000명으로 나타났으며, 50대는 39만4000명을 기록했다. 즉,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도 청년층이 많은 수준이다.
지난달 청년층 인구 815만명 가운데 쉬었음 청년(44만3000명)은 5.4%를 기록했다. 이는 7월 기준 가장 많은 수준이다. 2019년 4.1%에서 코로나 팬데믹으로 2020년 5.0%로 늘었다가 2022년 4.2%까지 줄었지만, 작년(4.8%)부터 늘어서 올해 다시 5%대로 들어섰다.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MD) 분석에 따르면 이들은 숫자가 늘어나는 것뿐 아니라 일할 의사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쉬었음 청년(44만3000명) 가운데 일하기를 원했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답한 이들은 33만5000명으로 75.6%에 달했다.
일자리를 찾지 않은 이유로는 ‘원하는 임금 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라는 답변이 42.9%로 가장 많았다
지금 뜨는 뉴스
‘이전에 찾아봤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에’(18.7%), ‘교육·기술 경험이 부족해서’(13.4%), ‘근처에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11.1%)가 뒤를 이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