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전략·기술·투자 등 분야별 민간기관 지원
금융, 수출, R&D 등 정책 지원 집중
중소벤처기업부가 유망 중소기업 100개를 선정해 중견기업으로 키우기 위한 '점프업(도약)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중기부는 협업을 통해 유망한 중소기업이 고부가가치와 발전 가능성이 높은 신성장 분야로 진출해 성장할 수 있도록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위한 정책 플랫폼 '점프업 프로그램'을 새롭게 도입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민간의 역량과 전문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기업선발단계부터 성장을 위한 다양한 지원까지 투자사, 연구기관, 컨설팅사, 자문기관 등 다수의 전문 민간기관과의 협력을 토대로 운영된다. 선발된 기업에 대해 3년간 맞춤형으로 밀착지원 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점프업 프로그램'은 먼저 정책금융기관의 인공지능(AI) 기업분석 모형과 투자자, 기술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민관합동평가단의 현장실사를 통해 성장잠재력이 우수한 중소기업을 1차 선별한다.
1차 평가를 통과한 기업을 대상으로 학계, VC 등 투자자, 경영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혁신역량 평가위원회’를 통해 기업별 성장전략 PT발표와 심층 토론을 거쳐 평가위원의 전원 합의 방식으로 지원 대상을 최종 선발한다. 1차와 2차 평가 모두 절대평가 방식으로 진행된다.
선정된 기업은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3년간 집중·밀착 지원을 받는다. 전용 프로그램은 ‘디렉팅’, ‘오픈바우처’, ‘네트워킹’ 등 3가지로 구성된다.
디렉팅은 경영·전략·기술 등 분야별 우수한 전문가들이 경영 멘토링과 스케일업 전략수립, 기술개발 전략수립·자문 등을 기업별로 전담 지원한다. 스케일업 전략을 실현하고 신사업·신시장 진출을 위한 사업화를 시도할 수 있도록 매년 2억원, 최대 3년간 7억5000만원의 오픈바우처를 기업별로 발급한다.
오픈바우처는 인건비 등 경비성 지출 등을 제외하고 인증, 지재권 획득, 마케팅 등 용도와 활용처를 넓게 인정해 기업의 자율성을 최대한 부여하는 방향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점프업 프로그램'은 투자유치와 해외 진출을 직접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국내외 글로벌 투자자, 해외 진출 전문가 등과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투자유치 네트워킹은 IR 노하우, 피칭 스킬 등 기업의 투자유치 역량을 강화한 후, 정책펀드 운용사 대상의 실전 IR 피칭 대회, VC 등 글로벌 투자사 등과 개별 미팅 등을 개최하여 실제 투자유치 성과로 연결하는 데 초점을 두고 운영할 계획이다.
기업별 해외 진출 수요를 반영하여 국가·지역별 해외거점(GBC, KSC)과 현지 전문가, 현지 기업인 등을 통해 사무공간 제공, 현지화, 투자유치 활동, 거래처 확보 등 해외시장 공략을 위한 네트워킹 활동도 지원한다.
기업의 도전을 뒷받침하는 금융·수출·연구개발(R&D) 등 정책 패키지도 지원한다.
스케일업(성장) 자금을 저리·장기로 확보할 수 있도록 융자범위·대출기간 등 융자조건을 과감하게 완화하는 한편, 산업·기업은행 등이 우대금리로 대출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최대 200억원 한도의 ‘특례보증’도 지원한다.
민간 자본을 통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스케일업·중견도약 펀드’의 주목적 투자대상에 포함한다. 투자를 유도하고 단독으로 회사채 발행이 어려운 기업을 위해 중진공, 기보 등 정책금융기관이 운용하는 채권담보부증권(P-CBO)을 연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기업의 해외 진출에 필요한 금융 부담 완화를 위해 다양한 정부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한다. 다양한 R&D 사업의 연계는 물론 수출자금 및 수출보험 등 수출금융을 우대 지원한다.
지금 뜨는 뉴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점프업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의 과감한 도전과 혁신을 전폭적으로 돕기 위한 정책 플랫폼이며, 일방향적인 지원에 그치지 않고 기업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소통과 밀착지원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