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철도공단은 최근 경기도 의왕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실험동에서 철도교량 ‘KR-I 거더’의 성능검증 시험을 진행해 성공적인 성적표를 받았다고 17일 밝혔다.
거더는 상판을 떠받치는 ‘보’로, KR-I 거더는 철도공단이 자체 개발했다. 성능검증 시험은 철도교량 상판을 떠받치는 실물 높이(30m)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인하고, 설계상 성능 확보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진행됐다. 400t의 하중을 줬을 때 거더의 처짐과 변형률, 균열 응답 등 성능을 검증하는 방식이다.
이 결과 ‘KR-I 거더’는 성공적인 실험결과를 보여 앞으로 현장에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
그간에 거더교는 철도교량의 교각과 교각 사이 경간(교각 중심 간의 거리, 간격) 그리고 형고(거더의 높이)가 제각각인 탓에 미관상 좋지 않고, 유지관리에도 어려움이 따랐다.
같은 이유로 철도공단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M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철도교량 표준화’ 연구를 추진, ‘KR-I 거더’를 개발했다.
‘KR-I 거더’는 경간 길이가 30m로 늘어나고, 복선에서 4주형으로 적용할 수 있게 돼 기술성과 적용성이 향상됐다.
기존 PSC I형 거더교는 25m 이하의 경간에 복선 교량에서 5주형으로 적용됐다. PSC(Prestressed Concrete)는 인장력이 생기는 부분에 미리 압축응력을 줘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를 높인 콘크리트를 말한다.
하지만 ‘KR-I 거더’의 개발로 경간 적용 길이가 25m에서 30m로 확대되면서, 앞으로는 철도노선이 도로나 하천 등을 통과해 서로 다른 경간을 적용하더라도 형고를 통일할 수 있어 미관 개선 효과와 비용절감, 유지관리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주형개수 감소(5주형→4주형)로 상부구조 공사비를 10% 이상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철도공단은 내다본다.
지금 뜨는 뉴스
이성해 철도공단 이사장은 “철도공단은 ‘KR-I 거더’에 이어 올해 8월 길이 45m의 ‘KR-U 거더’의 성능검증도 계획하고 있다”며 “향후 철도공단이 개발한 철도교량 기술이 실제 철도건설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