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원의 원조’ 아지노모토의 밸류업…주가 2배 상승 이유 있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분 1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동명이인 CEO 기업의 전혀 다른 운명<下>

밸류업 성공한 조미료 회사 아지노모토
아지노모토는 어떻게 주주 친화적 기업이 됐나

창업자가 모든 정책 결정한 세븐앤드아이홀딩스
거버넌스 부실로 아지노모토와 대조적 결과

'미원'의 원조 제품을 만든 일본의 대표 조미료회사 아지노모토는 편의점 세븐일레븐을 소유한 세븐일레븐앤드아이홀딩스(세븐앤드아이홀딩스)와 함께 자주 일본 언론에 등장한다. 식품·유통 업종에서 같은 이름을 가진 최고경영자(CEO)가 경영을 하는 대기업이기 때문이다.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아지노모토의 수장 역할을 했던 이토 마사토시 전 회장의 이름은 지난해 별세한 세븐앤드아이홀딩스 창업자 이름과 같다.
동명이인 수장을 뒀지만 두 기업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완전히 다르다. 아지노모토는 신사업을 잘 키워 주가가 꾸준히 오르고 있는 알짜기업 평가를 받고 있는데 반해 세븐앤드아이홀딩스는 역대 최대 영업이익에도 주가가 지지부진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한때 세븐일레븐에 음식과 조미료를 납품하는 업체 정도로 여겨졌던 아지노모토 주가는 가파른 상승세로 지금은 세븐아이홀딩스를 뛰어넘는 수준에 이르렀다. 일본 언론은 경영진의 사업 전개 방식, 기업 밸류업에 대한 고민 등이 기업의 운명을 바꾸는 상반된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로 꼽고 있다.
‘미원의 원조’ 아지노모토의 밸류업…주가 2배 상승 이유 있었다 아지노모토의 이토 마사토시 전 회장(왼쪽)과 세븐일레븐앤드아이홀딩스의 고(故) 이토 마사토시 명예회장.
AD

아지노모토는 일본 식품 기업 중 주가 상승 쾌거를 일으킨 대표 기업으로 꼽힌다. 2015년 2879.5엔(2만5095원)이던 아지노모토의 평균 종가는 10년 사이 2배 넘게 뛰어올라 지난 23일 기준 6001.0엔(5만2375원)을 기록하고 있다.


일본 주식시장에서 아지노모토가 처음부터 잘 나가는 기업은 아니었다. 2009~2010년 아지노모토의 PBR(주가순자산비율)은 1.0배를 밑돌았다. PBR이 1.0배 이하라는 것은 기업 시가총액이 장부가치보다 못한다는 뜻으로 주가가 저평가됐다는 의미를 가진다. 주가 저평가가 고민이었던 아지노모토는 재무보고서를 투자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주 친화적으로 바꾸는 등 여러 방식을 시도하게 된다.


주주 친화적인 경영에 신경 쓰겠다는 기조는 2015년 동명이인 CEO 시대가 막을 내린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단기간이 아니라 연속성을 가지고 주가 개선에 몰두했다는 뜻이다. 이토 회장 이후 부임한 새 회장은 자산 보유를 억제하는 '자산 경량화(Asset Light)' 전략을 내걸었다. 유휴 자산 매각 등으로 투하자본이익률(ROIC)을 높이는데 주력했다.


그리고 지난해 '2030 아지노모토 그룹은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만들고 이를 주주들에게 공개해 화제를 모았다. 보고서에는 2030년에 이룰 수 있는 아지노모토의 가장 바람직한 모습을 상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할 것인지에 대한 대책들이 담겼다. 특히 재무 건전성, 주가 상승, 배당 등에 대한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한 것이 눈에 띈다. 사실상 밸류업에 대한 논의를 자체적으로 시작한 것이다. 보고서는 인포그래픽과 구체적인 수치를 사용해 투자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만들었다.


‘미원의 원조’ 아지노모토의 밸류업…주가 2배 상승 이유 있었다 아지노모토가 발간한 '2030 아지노모토 그룹은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제목의 보고서.(사진출처=아지노모토)

이 보고서에서 아지노모토는 2020~2025년 중기 경영 계획으로 'ROIC 향상'을 못 박았고, 2021년 7.9%였던 ROIC를 2025년도까지 10~11%로 높이겠다고 공표했다. 이를 위해 그간 소유하고 있었지만 유의미한 수익을 내지 못했던 유럽의 동물용 사료 사업이나 커피 브랜드 등 비채산 사업 부문을 전부 매각했다. 여기에 이사회뿐만 아니라 경영진 회의에도 외부 인사를 초빙해 조직이 기존 인물 중심으로 경직되는 것을 막고, 독립 사외이사를 선임해 투명한 의사결정 구조를 갖췄다.


이러한 노력들 덕분에 현재 아지노모토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경영 목표를 알기 쉽게 적극적인 IR 활동을 하는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일본IR협회는 2021년과 2022년 연속으로 'IR우량기업상'에 아지노모토를 선정했고, 일본이사회협회는 지난해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통해 가장 건전한 성장을 이룬 기업으로 아지노모토를 꼽았다. 일본 경제매체 겐다이비즈니스는 "아지노모토는 자사 홈페이지에서 구체적인 목표와 전략을 내걸고 어떻게 실행하는지를 쉽게 공표하고 있다"며 "독자적인 기술뿐만 아니라 기업 거버넌스 강화에 임하는 자세는 향후 성장을 기대하기에 충분하다"고 호평했다.

창업자 한 명에 의존한 세븐앤드아이홀딩스…거버넌스 부실로 주가 하락

세븐앤드아이홀딩스는 이와 다르게 카리스마 있는 창업자 한 명이 모든 정책을 결정하는 구조였고, 이것이 거버넌스 부실로 이어졌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일본 경제 잡지 프레지던트는 세븐앤드아이홀딩스가 2023년 10월 연결 결산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냈음에도 불구, 발표 다음 날 주가가 5% 하락한 것과 관련해 "2016년부터 시작된 CEO 인사 갈등 등 경영의 취약성이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지적했다.


당시 세븐앤아이홀딩스의 회장은 주력 사업인 편의점을 크게 키운 스즈키 토시후미가 맡고 있었다. 그는 세븐일레븐을 크게 도약시켰다는 점에서 절대적인 위치에 있었고, 이를 남용해 세븐일레븐 재팬의 이사카 류이치 사장에게 사퇴를 종용했다. 그러나 이사카 사장은 이에 불복하고 창업자이자 오너 일가인 이토 명예회장을 끌어들여 전세를 역전시켰고, 결국 스즈키 회장을 물러나게 했다. 스즈키 전 회장은 퇴임 기자회견에서 "이토 명예회장은 세븐일레븐의 대성공으로 회사를 마음대로 지배하게 된 나를 탐탁지 않게 여겼다"며 불화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프레지던트는 "막강한 권력자의 존재가 가져온 부실한 지배구조"라고 꼬집었다.


‘미원의 원조’ 아지노모토의 밸류업…주가 2배 상승 이유 있었다 경영권 분쟁 끝에 세븐일레븐앤드아이홀딩스의 대표이사가 된 이사카 류이치.(사진출처=세븐일레븐앤드아이홀딩스)

경영자 리스크에 이어 세븐앤아이홀딩스는 행동주의 펀드로부터 꾸준히 개선책을 요구받고 있다. 가장 많은 지적을 받는 것은 마트부문인 이토요카도다. 행동주의 펀드는 폐점 점포가 증가해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분리를 요구하고 있다. 세븐앤아이홀딩스가 쉽게 이토요카도를 버리지 못하는 배경에도 오너 일가 중심의 경영 체제가 깔려 있다. 이토 전 명예회장이 타계한 뒤 곧바로 차남이 이토요카도 총괄에 나서기로 했기 때문이다. 오너 일가가 이토요카도를 지켜나가겠다는 메시지로 읽히고 있어 행동주의 펀드의 개선책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겐다이비즈니스는 "일본에서는 과거부터 내려온 관습이라는 이유로 비효율적인 사업을 남기는 일이 허다하다"며 "이러한 지배구조의 기능 부전이 일본 경제의 성장을 저해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2022년 도쿄 증시 밸류업을 시작한 것도 이런 상황의 개선을 위해서였다"고 설명했다.




전진영 기자 jintonic@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