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 반도체 점유율 '부담'…"더 오르면 독점법 규제대상"

시계아이콘01분 2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삼성전자가 최근 메모리반도체 감산을 결정한데 있어 계속 상승하는 시장 점유율이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삼성 반도체 점유율 '부담'…"더 오르면 독점법 규제대상"
AD

11일 반도체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D램 및 낸드 세계 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4분기보다 더 상승할 경우 수익성 뿐 아니라 공정한 시장 질서 확립 차원에서도 문제가 생길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삼성전자를 제외한 메모리반도체 경쟁 기업들이 지난해부터 감산을 시작하면서 뒤늦게 감산에 동참한 삼성전자의 시장 지배력은 더 높아졌을 가능성이 크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가 앞서 공개한 지난해 4분기 삼성전자 D램 시장점유율은 삼성전자가 45.1%로 3분기 40.7% 보다 4.4%포인트 상승했다. 같은기간 SK하이닉스가 28.8%에서 27.7%로, 마이크론이 26.4%에서 23%로 하락하는 사이 삼성전자만 시장 점유율이 상승했다. 낸드 역시 삼성전자는 점유율이 33.8%로 2.4%포인트 높아진 반면 2, 3위인 키옥시아와 SK하이닉스는 19.1%, 17.1%로 각각 1.5%포인트, 1.4%포인트 하락했다. 이미 지난해부터 감산을 시작한 다른업체들과는 달리 우월한 원가 경쟁력이 있는 삼성전자가 반도체 가격하락에도 불구하고 감산을 하지 않으면서 점유율은 더 올라갔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3개사의 과점 체제로 돌아가고 있는 D램의 경우 삼성전자 점유율이 시장 독점 판단의 기준이 되는 50%에 육박해 있다. 사실상 시장 지배적 사업자인 셈이다. 낸드 시장은 현재 상위 1~3위 기업이 시장의 70%를 나눠갖고 있지만 지금의 업황 악화가 심화하면 웨스턴디지털 같은 하위 사업자들이 타격을 받아 언제든지 과점시장으로 바뀔 가능성이 열려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메모리반도체 시장 점유율이 올라간다고 해서 그 자체로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시장에서는 독점 또는 과점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회사가 자신이 가진 지위를 활용해 독점법상 위배되는 행위를 할 수 있다고 판단해 더 촘촘한 감시를 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신창환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도 최근 한 포럼에서 "특히 D램 시장 점유율은 특정 기업이 과반 이상 가져가면 독점법 규제 대상이 된다"며 지금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되 효율적인 기술전환이 잘 이뤄질 수 있도록 투자를 잘 하는게 중요해진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미중 간 첨단기술 패권 갈등이 커지고 있는 분위기 속에 삼성전자의 메모리반도체 점유율 추가 상승이 자칫하다가는 미국, 중국, 일본 등 반도체 산업을 강화하고 있는 주변국의 견제심리를 자극할 가능성도 있다. 이미 시장은 2007~2009년 반도체 업황 하락기에 경쟁 업체 파산으로 이어진 치킨게임을 경험한 바 있다.



첨단기술 패권 경쟁을 벌이며 자국 반도체 산업을 키우려는 국가 입장에서는 삼성전자의 메모리반도체 질주가 반가울리 없다는 것이다. 삼성전자의 메모리반도체 점유율이 더 높아질 경우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나 중국의 반독점심사 기구인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 같은 반독점 기관들이 까다로운 잣대를 들이대 삼성전자를 겨냥한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까지 염두에 둬야 한다고 경고도 나오고 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