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경련 "근로시간 선택권 확대가 생산성·워라밸 높인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휴가 활성화와 유연근로시간제 등 근로 시간 선택권을 확대하는 조치가 업무 생산성과 워라밸(일과 삶의 조화)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불필요한 근로 시간을 줄이는 데도 효과가 있다는 평가도 있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여론조사업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 매출액 1000대 기업 인사·노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근로시간제도 운영현황 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 응답 기업 10곳 중 7곳(67.0%)은 생산성과 일·생활 균형 상향 위한 제도 도입 필요성에 공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생산성 및 일·생활 균형 향상을 위해 도입했거나 고려하는 제도로는 ▲휴가 형태 다양화, 연차 사용 촉진 등 휴가 활성화 조치(27.6%) ▲탄력·선택·재량근로, 시차출퇴근 등 유연근로시간제(27.0%) ▲근로시간 기록·관리 시스템 구축 및 강화(21.4%) 등을 꼽았다.


전경련 "근로시간 선택권 확대가 생산성·워라밸 높인다"
AD

기업이 업무 효율 및 생산성 개선에 가장 효과가 있다고 꼽은 제도는 휴가 활성화 조치(83.5%)다. 불필요한 초과 근로 감축에 효과가 있다고 답한 제도는 유연근로시간제(73.8%)였다.


전경련은 실제 유연근로시간제를 활용할수록 초과 근로 시간이 줄어드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고용노동부 데이터를 살펴보면 유연근로시간제 활용률이 2015년 4.6%에서 지난해 16.0%로 지속해 늘면서 상용 근로자의 월평균 초과 근로 시간이 10.7시간에서 8.2시간으로 줄었다는 내용이다.


전경련 측은 "2018년 주52시간제 시행으로 근로 시간이 줄어든 점을 감안하더라도 이전부터 유연근로시간제 활용률 증가와 함께 초과근로시간이 감소했다"며 "유연근로시간제 활용이 불필요한 초과 근로를 줄이고 근로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전일제 근로자 기본 근로 시간과 초과 근로 시간을 합한 총 근로 시간을 조사한 결과, 1주 평균 45.7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주44시간 이상 주48시간 미만(39.8%) ▲주48시간 이상 주52시간 미만(34.0%) ▲주40시간 이상 주44시간 미만(20.4%) 순으로 조사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근로 시간 선택권을 확대한 많은 기업이 일·생활 균형 및 생산성 개선 효과를 느끼고 있다"며 "국회와 정부는 근로시간 유연화를 통해 업무 효율을 향상하고 근로자 삶의 질을 높일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