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시론] 스태그플레이션과 금리인상

시계아이콘01분 27초 소요
뉴스듣기 글자크기
[시론] 스태그플레이션과 금리인상
AD

주식시장이 파랗게 물들며 우리 경제에 경고등이 켜지고 있다. 코스피시장은 지난 13일 3.52% 하락하며 연저점을 갱신했다. 코스닥시장의 하락폭은 더 커서 하루만에 무려 4.72% 폭락했다. 힘겹게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마무리중이었던 우리 증시는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라는 낯선 조합에 또다시 고난의 시기를 앞두게 되었다.


현재 주식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키워드는 단연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라 할 것이다. 국내 5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5.4% 상승했다. 14년만의 최대 상승폭이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더 심각한데, 지난 주말에 발표된 수치는 무려 8.6%로 41년만의 최고기록이다. 인플레이션은 한번 높아지면 쉽게 내려오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시장 일각에는 연준이 강도 높은 기준금리 인상을 진행하고 있으니 인플레이션이 조만간 안정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기대감이 고개를 들고 있다. 지나치게 안일한 생각이다. 최소 올해 3분기까지는 현재와 비슷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강도 높은 통화긴축이 상당기간 이어진 이후에야 비로소 안정기로 전환될 것이다.


연준의 고강도 통화긴축이 이어질 경우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경제가 경기침체에 빠질 가능성은 상당히 높다. 연준은 5월에 기준금리를 0.5% 인상했고, 6월 FOMC에서도 0.5% 이상의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7월에도 비슷한 수준의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기준금리 인상과 더불어 6월부터 양적 긴축(QT)까지 동원해 유동성 축소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상 유례가 드물 정도의 통화긴축 속도인데, 이 정도 속도라면 경기침체가 오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상할 것이다.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가 조합을 이루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된다. MZ세대에겐 태어나기도 전의 일이라 경제학 강의에서나 들어보았을 이야기일 테지만, 기성세대에게 스태그플레이션은 여전히 선명한 기억으로 남아있는 악몽이다. 1973년 10월의 1차 오일쇼크와 연이은 스태그플레이션, 그리고 1979년 1월의 2차 오일쇼크와 1980~82년까지 더블딥(double-dip)의 형태로 나타나 글로벌 경제를 잠식했다. 그 공포스러운 스태그플레이션이 40년 이상의 시간을 뛰어넘어 다시 부활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역사는 동일한 형태로 반복되지는 않는다고 한다. 그렇지만 다가오는 스태그플레이션은 40년전의 그것과 상당히 닮아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먼저 인플레이션에 취약한 거시경제 환경이 오랜 기간 조성되어왔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오일쇼크와 더불어 곡물가격 상승을 동반하고 있었다는 점, 경기침체가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임금 상승세가 지속됐다는 점 등은 필자만이 느끼는 기시감은 아닐 것이다.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라는 두 가지 경제적 난제는 동시에 해결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렇다면 어디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것인지는 명확하다. 이미 물가상승률이 높아진 상황이라면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포함하는 경기부양책을 사용할 여력이 크게 제한된다. 경기부양책을 시도할 때 물가상승률은 쉽게 높아지지만 실물경기 개선효과는 미미해지기 때문이다.


한편 통화긴축을 통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바꾸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글로벌 중앙은행들은 20세기에 체득한 이러한 교훈을 이번에도 성실히 통화정책 수단으로 실행해 나갈 것이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비용은 생각보다 클 것이며, 빙하기를 살아남을 대응책의 마련이 절실하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