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3년 만에 '5·18 전야제' 정상화…광주 금남로 일대 시민들로 북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시민들, 각자 방법으로 추모…다양한 체험 부스도 눈길

3년 만에 '5·18 전야제' 정상화…광주 금남로 일대 시민들로 북적 17일 오후, 시민들이 5·18전야제에 와서 공연을 보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박준호 기자] 그동안 코로나19 여파로 축소·취소됐던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앞서 열리는 전야제가 3년 만에 정상화됐다.


엄마 손을 잡고 나온 아이부터 서리가 머리 위에 내린 듯 백발의 어르신, 정장과 구두를 갖춰 입은 남녀, 각계각층의 인파가 3년 만에 열린 전야제를 기다린듯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일대에 몰리며 거리가 들썩였다.


이렇게 '오월시민난장'은 막이 올랐다.


시민들은 각자의 방법으로 42년이 지난 5·18을 추모했다. 그림벽화 그리기부터 오월주먹밥 시식, 광주 트라우마센터, 오월어머니집, 광주문화재단 등 많은 기관과 단체들이 천막에서 길을 지나던 시민들에게 다가가기도 했다.


5·18 정신의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는 대표적인 것은 '주먹밥'이다. 5·18 당시 광주시민들은 계엄군에 맞선 시민군을 위해 자발적으로 주먹밥을 만들어 전달했다. 이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5·18 즈음이 되면 여기저기서 주먹밥 나눔 행사가 열린다.


이날 시민난장에도 어김없이 '오월 주먹밥' 부스가 차려졌다. 점심시간이 훌쩍 지난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5·18 당시 상황을 잊지않고자 시민들이 줄을 지어 주먹밥을 받고 있었다. 주먹밥을 손에 든 한 어르신은 42년 전의 상황이 떠올랐는지 한동안 하늘을 올려다 보기도 했다.


광주 트라우마센터 부스에선 5·18부상자들과 피해자들을 위한 심리치유 이동센터를 운영함으로써 이곳을 지나다니던 시민들에게 피해자들의 정신적 손해배상 필요성을 알렸다.


또 다른 부스에선 스케치만 돼있는 5·18민주벽화그림들이 전시돼 있었다. 시민들과 함께하는 그림전시회였기에 일부 시민들은 가던 길을 멈추고 미술작품에 색을 칠하며 추모했다.


전교조 광주지부 부스에선 아이들이 학교에서 배운 5·18에 대해 고사리손으로 자신의 생각을 쓰며 기억했다. 특히 광주 극락초등학교는 4학년 전 학생이 선생님과 전야제에 참여해 5·18을 직접 경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규민(11·극락초등학교)양 "많은 사람들이 이 도로에서 희생됐다는 선생님의 말씀을 듣고 마음이 아프고 슬펐다"며 "앞으로 희생된 사람들을 잊지 않도록 매년 꼭 올거다"고 말했다.


5·18민주광장 근처에 준비된 무대에선 밴드부의 공연과 아이들의 합창이 이어졌다. 뛰어난 실력에 박수갈채를 보낸 시민도 있는가하면, 휴대폰 영상으로 찍으며 기록을 남기는 시민들도 있었다.


도로 중앙에선 몇몇 청년들은 신나는 노래를 틀고 춤을 추기도 했다. 이들은 시민들에게 박수호응을 유도하며 자칫 가라앉을뻔한 분위기를 살리기도 했다. 아이들은 가던 길을 멈추고 춤을 따라 추기도 했다.


경찰들은 거리 여기저기에 철제울타리와 라바콘을 세우며 경광봉과 질서유지선 띠를 잡고 있었다. 이들은 차량과 버스를 통제하며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분주히 움직였다.


한 할머니는 5·18당시 상황을 회상하는 듯 거리 한복판에서 마이크를 잡고 절규를 하고 있었다. 그리고 거리 곳곳엔 ‘과거와 현재를 잇는 오월의 끈이 되어 함께하겠습니다’, ‘진실의 힘 시대의 빛으로 대동주먹밥’, ‘거리에 역사를 바꾼 그날의 기억 잊지 않겠습니다’ 등의 현수막이 걸려있었다.



남상수(61)씨는 "5·18을 직접 겪은 저는 40년이 흘렀지만 5월만 되면 악몽을 꾸고 잠을 못 이루고 있다"며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기에 밝혀지지 않은 진실이 빨리 규명돼 한을 풀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박준호 기자 juno12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