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급하는 신혼희망타운 아파트 외관에 LH 로고가 삭제될 전망이다. LH 주택에 산다는 이유로 아이들이 놀림을 받는 등 논란이 계속되자 LH가 로고를 빼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김현준 LH 사장은 2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신혼희망타운 명칭에 관한 문제제기에 "현재는 LH 로고와 자체 브랜드를 병행하고 있다"며 "로고 사용 문제는 국토부와 상의해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천 의원은 "신혼희망타운 입주 예정자들이 오랫동안 신혼희망타운이나 LH 로고를 쓰지 말아 달라고 요청해왔다"며 "아파트 특성상 자녀가 많은 신혼부부가 입주하게 되는데, 자녀의 차별 문제에 대해 입주자들이 민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LH는 LH 로고와 단지별 브랜드를 병행해서 사용하는 방안을 추진하다가 입주 예정자의 반대 민원에 '신혼희망타운' 로고를 따로 만들어 쓰는 방안으로 변경했지만 이후 다시 LH 로고와 단지 브랜드를 쓰는 방안으로 추진 중인 상황이다.
천 의원은 "LH가 공급한 아파트에 산다는 이유만으로 차별과 편견에 놓일 가능성이 있어 입주 예정자들이 오래전부터 간절하게 희망신혼타운과 LH 명칭을 빼달라는 요청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이어 "LH는 공급자가 아닌 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펼치면서 인지도를 개선하는 것이 맞다"며 "서울주택도시공사(SH)는 자체 로고를 사용하지 않고 입주민이 원하면 작명 회의를 거쳐 마을의 이름을 직접 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