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내 음료 수출 10년 새 162%↑…中·美·캄보디아 등 수출 쏠림 현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국내 음료류 수출 2007년 1.9억만달러→2016년 5.2억만달러
중국·미국·캄보디아 수출 비중 절반 넘어
커피·주스 전문점 생기면서 국내 매출은 감소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국내 음료류 수출액이 10년 새 162%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음료류의 수출이 중국, 미국, 캄보디아 등 세 개 지역에 집중돼 '수출 쏠림 현상'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국내 음료 수출 10년 새 162%↑…中·美·캄보디아 등 수출 쏠림 현상
AD



17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간한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음료류 수출액은 5억2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2% 늘었다. 2007년의 수출액(1억9000만 달러)과 비교하면 162% 급증했다. 음료류 수입규모는 2억8310만 달러에서 2억5001만 달러로 20% 증가했다.

음료류는 식품공전 기준으로 액상차(차음료), 액상커피, 과일·채소류 음료, 탄산음료류, 가공두유, 발효음료류, 홍삼·인삼 음료, 기타 음료를 말한다.


음료류의 수출 증가율이 매년 성장세를 보이면서 2007년 980만달러 적자였던 무역수지는 지난해 2억6974만 달러의 흑자를 냈다. 십년 새 음료류가 대표적인 흑자품목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23.9%), 미국(15.4%), 캄보디아(10.9%) 등의 순으로 이들 3개 국이 전체 수출 비중의 50.2%를 차지했다. 중국의 경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로 인한 갈등을 빚고 있어 음료류 수출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에 대비해 수출시장의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국내 음료 수출 10년 새 162%↑…中·美·캄보디아 등 수출 쏠림 현상



2012년 이후 베트남과 캄보디아의 수출도 급증했다. 베트남과 캄보디아의 수출은 각각 316.4%, 218.7%에 증가했다. 캄보디아는 드라마 대장금이 인기를 끌면서 한류 열풍이 음료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특히 박카스가 ‘국민 에너지음료 1위’ 이미지를 구축하며 수출 증가를 이끌고 있다.


과채음료의 국내 매출 실적이 부진한 가운데 이탈리아(2171.2%), 말레이시아(553.8%)·대만(354.5%) 등의 과채음료 수출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이탈리아의 경우 당도가 낮은 제품의 수출은 2014년 이후 3년 간 205배 가까이 급증했다. 말레이시아는 기타 과채음료, 대만은 혼합주스의 수출이 각각 늘었다.


수출은 늘었지만 국내 매출은 주춤했다. 2016년 기준 음료류 전체 시장 규모(소매시장 기준)는 3조424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3% 감소했다. 커피·주스 전문점 등 대체재 시장이 확대되면서 매출 비중이 큰 커피음료, 과채음료 등의 매출이 줄어서다. 커피음료(22.1%), 탄산음료(21.3%), 과채음료(18.4%) 등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이 넘는다.


건강에 대한 관신이 높아지면서 에너지음료(15.4%), 이온·비타민음료(8.8%), 인삼음료(7.7%)의 시장 규모는 확대됐다. 반면, 두유(△8.6%), 과채음료(△7.8%), 액상차(△5.1%), 탄산음료(△1.8%), 커피음료(△1.4%)는 매출이 감소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