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허리케인 '하비' 여파에 겨울 난방비가 벌써 걱정되는 이유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아시아로 오는 미국산 LPG 90%가 텍사스에서 출발
하비 여파로 텍사스 항만 폐쇄, 아시아 에너지 대란 우려


美 허리케인 '하비' 여파에 겨울 난방비가 벌써 걱정되는 이유는? (사진=AP연합)
AD

미국을 강타한 허리케인 하비로 텍사스 주의 항만시설이 마비되면서 미국의 액화석유가스(LPG)를 수입하는 아시아 지역 전반에 에너지 쇼크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산 연료 수출이 엿새째 중단되면서 전 세계 에너지 업계에 예기치 않은 폭풍이 휘몰아치고 있는 것.


3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CNN 등 외신들에 따르면 지난 25일 미국 텍사스 주를 강타한 허리케인 하비로 텍사스 주의 항만이 잠정 폐쇄되면서 아시아 지역으로 수출되는 프로판, 부탄 등 LPG 운송이 전면 중단됐다. 하비가 상륙한 첫날인 25일부터 LPG 선박이 단 한 대도 떠나지 못한 상황이다.

엔터프라이즈 프로덕츠 파트너스((Enterprise Products Partners) 등 미국의 주요 에너지 기업들도 하비가 상륙한 지 닷새째인 지난 29일 성명을 내고 휴스턴 항구의 폐쇄 사태로 인해 수출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여름 더위가 꺾이고 본격적으로 석유화학, 난방연료 등을 수입해야 할 처지에 놓인 아시아 각국은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美 허리케인 '하비' 여파에 겨울 난방비가 벌써 걱정되는 이유는? 미국산 LPG 수입이 제때 이뤄지지 못하면서 에너지 가격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사진=아시아경제DB)


미국이 올해 수출하는 프로판, 부탄 등은 2800만톤(t)으로, 이중 절반가량이 한국과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주요국으로 수출된다. 문제는 미국에서 아시아로 수출하는 LPG 중 90% 가량이 텍사스 걸프만에서 출발한다는 것이다.


미국산 에너지 수출이 중단되면서 전 세계 연료 시장에도 타격을 받게 됐다. 미국산 LPG 수입이 중단되면서 지난 30일 동북아시아 시장에서 프로판 9월물 스와프는 10월물보다 톤당 6달러의 프리미엄이 붙은 채 거래됐다. 이런 상황에서 중동 LPG 회사인 사우디아라비안오일 등도 판매가격을 올리면서 에너지 대란은 심화될 전망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는 국내 LPG 수입사들에게 9월 프로판 가격은 톤당 480달러, 부탄은 500달러로 조정한다고 통보한 바 있다. 8월물에 비해 프로판은 60달러, 부탄은 40달러 각각 오른 셈이다.


또한 텍사스에는 미국 내 운영가능한 정제설비의 52%가 집중돼있다. 허리케인으로 가동 중단한 설비 규모는 약 440만b/d로 일부업체들의 추가중단과 가동률 조정이 있었기 때문에 실제 규모는 더 클 전망이다. 미국의 글로벌 석유제품 수요와 공급이 약 20%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아시아 지역의 에너지 가격 상승 타격은 한동안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