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래창조과학부 측과 협의해 지원 재개하기로..."정부 계획 확정되는 데로 최대한 협조"
21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미래창조과학부 측과 실무협의를 통해 서울창조혁신센터에 대한 지원을 재개하기로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시 관계자는 "미래부 측에서 원만한 운영을 위해 협조해달라고 요청해 왔고 창업기업 육성이라는 기본 취지에는 공감하는 만큼 협력하겠다고 했다"며 "중기벤처부로 주관 부처가 변경되고 명칭 및 운영 방식 변경 등 정부의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정책 방향이 확정되면 원활히 시행되도록 최대한 협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해 11월 올해 예산안을 편성하면서 전국 17개 시ㆍ도 중 유일하게 전액 삭감했던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금 20억원을 부활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는 2015년 7월 센터 설립후 13억원, 2016년 20억원을 각각 지원했지만 올해에는 한 푼도 지원하지 않았다.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정부로부터 그만큼 예산을 더 받았지만 찔끔찔끔 지원되는 바람에 예산 부족에 시달려 입주기업들에 대한 지원이 소홀해지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 관계자는 "20억원을 전액 부활시킬지 일부만 되살릴 지는 검토해 봐야 한다"며 "21일 개관하는 서울창업허브 등 기존 인프라와 연계 운영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서울시의 방침 변화가 전국 18개 창조경제혁신센터들의 '회생'의 계기가 될 지 주목되고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들은 '박근혜표'라는 꼬리표를 떼고 새 정부 출범 이후 창업 기업 지원이라는 본연의 목표에 충실한 지원 기관으로 거듭나야 살아 남을 수 있는 상황이다.
이와관련 박원순 시장은 지난해 11월 지원 예산을 삭감하면서 "CJ그룹(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주관그룹)도 지원 지속이 불투명하고 창조경제에 관한 부정적 여론 때문에 센터에 입주한 65개 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조차 선의의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와중에 대기업들의 지원이 청와대의 강압에 의해 마지못해 이뤄졌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창조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고조된 현실을 반영한 입장이었다.
이처럼 17개 시ㆍ도 중 맏형 격인 서울시가 지원 예산을 전액 삭감하고, 대기업들도 더욱 소극적으로 돌아서면서 전국의 창조경제혁신센터들은 존폐의 기로에 내몰렸다. 여기에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의 경우 2015년 7월 개최된 개관식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전국 18개 센터 개소식 중 유일하게 불참해 박 시장도 참석하지 않는 등 시작부터 불협화음을 보여왔다.
이에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한때 전면 폐지 전망도 나왔지만, 최근 국정기획자문위원회를 통해 주관 부처가 미래부에서 신설되는 중기벤처부로 이관되고 명칭이나 운영 방식 등도 전면 재검토되는 등 '리모델링 후 재활용' 쪽으로 방향이 잡힌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는 서울시의 지원 중단으로 입주기업 5~7곳이 이날 문을 연 서울창업허브로 둥지를 옮기는 등 찬밥 신세가 된 상태다. 서울시가 마포구에 개관한 서울창업허브는 연간 450개 사가 입주하는 국내 최대 창업 종합 지원 기관이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