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사드 몽니]'韓 여행금지령' 항공업계 직격탄…매출 20%↓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항공여객 감소 운항 축소·중단 예의주시

[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 중국 정부가 자국민들의 한국 여행 금지 조치를 내리면서 국내 항공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한반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막가파식 공세에 중국 노선 운항 축소나 중단 등 적잖은 파장이 우려된다.


3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중국 노선 운항편수는 지난해 9만2289회로 전체 운항편수(33만9673편)에서 27.2%를 차지하고 있다. 인천공항에서 하루 뜨고 내리는 항공편 10편 중 3편이 중국 노선이라는 얘기다. 항공업계는 중국 정부의 한국 관광 금지 조치로 인해 중국 노선의 파행 운항이 현실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전체 매출액 중 중국 노선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아시아나항공이 19.5%로 가장 높고, 대한항공이 13%, 진에어 12%, 이스타항공 11%, 제주항공 9.9%를 차지하고 있다. 항공사별로 아시아나항공의 중국 노선 총 운항편수는 2만5357편(부정기 포함), 총 여객 수는 421만명이다. 대한항공의 경우 총 운항편수는 2만3476편(부정기 포함), 총 여객수 394만명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이번 여행금지 조치로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예약 취소자가 늘어나 탑승률이 급감할 경우 해당 노선의 운항 취소와 노선 감축이 이어질 수 있다"면서 "이 경우 상대적으로 방한 중국인 관광객 이용 비중이 높은 대형항공사들이 타격이 더 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비용항공사(LCC)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상대적으로 정기편이 적은 LCC들은 전세기를 띄워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요를 채워왔다. 하지만 앞서 중국 정부가 국내 항공사들의 중국발 한국행 전세기 운항 신청을 불허하면서 LCC들의 부정기편 운항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부정기 항공편인 전세기는 주로 중국인 단체여행객들이 이용한다. 한중간 전세기로 오가는 관광객 수는 전체의 3% 정도다. 엄경아 신영증권 연구원은 "사드배치 문제가 불거진 지난해 하반기 부정기편 운항이 줄면서 중국인 입국자수는 전년대비 절반 가량 줄어든 상태"라면서 "중국 노선의 수요 감소가 실제 항공사들의 실적 하향으로 이어질지는 앞으로의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항공사들은 상황이 장기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지금 당장 눈에 띄는 예약감소는 없지만 이번 조치가 개별여행객들을 포함하고 있어 악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시아나항공 측은 "이번 중국 정부 조치로 중국 노선의 운항 횟수를 줄이거나 중단하는 상황이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중국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中 사드 몽니]'韓 여행금지령' 항공업계 직격탄…매출 20%↓
AD


[中 사드 몽니]'韓 여행금지령' 항공업계 직격탄…매출 20%↓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