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출입中企 64%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장 우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IBK경제연구소, 수출입 중소기업 152곳 대상 이슈조사 실시

[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수출입 중소기업이 올해 가장 우려하는 대외리스크는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6일 IBK기업은행 산하 IBK경제연구소가 수출입 중소기업 15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슈조사에 따르면 이들 기업의 약 64%가 올해 가장 우려하는 대외리스크로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EU체제 불안 등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를 꼽았다.

이어 '보호무역주의 확산'(50%), '트럼프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한미 FTA 재협상 등)에 따른 수출입환경 변동성 확대'(42%), '사드보복에 따른 중국 수출 감소'(42%) 등이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들은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와 교역비중이 높고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변화를 가장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수출입 중소기업이 우려하는 대내리스크로는 '소비 및 투자심리 위축'이 60%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부담'(49%), '국내 정정 불안'(46%), '기업구조조정'(11%)이 뒤를 이었다.

내년 수출 전망에 대해서는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한 기업이 46%로 가장 많았고, '작년보다 둔화'와 '작년보다 증가'는 각각 27%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수출 증가를 예상하는 이유로는 '신제품 개발, 신규 거래처 확보 등'(48%), '신흥국 경기개선 기대'(28%), '원달러환율 상승'(24%) 순으로 조사됐다. 반대로 수출 둔화를 예상하는 이유로는 '보호무역주의'(59%), '중국의 사드 보복에 따른 중국 수출 감소'(21%), '해외생산 확대'(15%), '엔저로 인한 국내 제품 가격 경쟁력 하락'(6%) 등이 꼽혔다.


올해 상반기와 하반기 수출입 경기를 비교하는 설문에는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는 응답이 51%로 가장 많았다. 투자 계획에 대해서는 전체의 12%만이 '작년보다 확대할 것'이라고 응답했고, '작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란 기업이 47%로 가장 많았다. 축소는 21%, 투자를 하지 않겠다는 기업도 20%에 달했다.


투자를 주저하는 이유로는 '경기 불확실성 확대'가 75%로 지난해(71%)에 이어 올해도 가장 높았고, '자금조달 문제'(24%), '국내 수요 부진'(21%) 등이 뒤를 이었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