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간편식시장 1조7000억 5년간 51% 성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간편식시장 1조7000억 5년간 51% 성장
AD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1인가구가 늘어나면서 간편하게 식사를 할 수 있는 간편식(HMR)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5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발표한 간편식 식품 보고서에 따르면 간편식 국내시장 규모는 2015년 출하액 기준 1조6720억원으로 5년 전인 2011년 1조11067억원 보다 무려 51.1%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공전에 따른 간편식 품목분류로 보면 간편식은 즉석섭취, 즉석조리식품, 신선편의식품류 등으로 나뉜다.

전체 간편식 시장에서 즉석섭취식품의 비중이 59.3%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즉석조리식품은 34.9%, 신선편의식품은 5.7% 순으로 나타났다.


즉석섭취식품 시장규모는 2015년 9922억원으로 5년 전에 6652억원 대비 49.2% 증가했다. 즉석섭취식품의 주된 품목은 '도시락'이며, 출하액 기준 4446억원으로 전체의 44.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도시락은 국내 출하비중이 84%, 항공기 기내식 등 수출이 16%로, 국내로 출하된 도시락은 편의점(40%), 도시락 전문점(30%), 외식업체(20%), 온라인(10%) 등으로 유통됐다.


특히 편의점 도시락의 시장규모는 2015년 1329억원으로 최근 3년간 70.4%나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도시락 이용에 대한 소비자 조사 결과 '집·사무실에서 혼자 먹을 때'라는 응답이 53.3%에 달했으며, 출장, 소풍, 회의, 단체식사제공(25.3%) 등 간편한 식사를 원하는 상황에서 주로 이용했다.


즉석조리식품의 국내 시장규모는 2011년 3815억원에서 2015년 5843억원으로 53.2% 성장했다.


식품가공·포장, 보관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국·탕·찌개류, 스프류, 미트류 등 간편식 레토르트 제품 출시가 늘어난 것도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즉석조리식품 중 간편식 레토르트 식품 소비시장 규모는 2015년 1287억원으로 3년 전에 비해 22.3% 늘어났다.


또 소비자 조사 결과 여성보다는 남성, 20~30대 보다 40대, 미혼자 보다 기혼자, 다인가구 보다 1인 가구의 구매빈도가 높았다.


집이나 사무실에서 혼자 먹는 경우가 60.2%로 가장 많았고, 가족끼리 식사할 때 반찬이나 국으로 먹는 경우도 23.0%를 차지했다.


신선편의식품 국내 시장규모는 2015년 956억원으로 2011년 601억원 보다 59.1% 증가했다. 시장 형성 초기 단순 세척 샐러드류 제품 위주였지만 최근 치즈, 건과류, 닭가슴살 등 재료가 다양해지면서 출하 규모가 늘고 있다.


신선편의식품 중 간편과일과 샐러드 경우 대형 할인점·체인슈퍼 판매액은 2013년 208억원에서 2015년 309억원으로 증가했다.


신선편의식품을 구매하는 이유는 '재료를 다듬고 세척하는 과정의 번거로움 때문(36.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소용량으로 구입해 재료의 낭비를 막기 위해 구입하는 경우도 26.5%를 차지했다.


한편 영국의 국제 시장조사기관인 캐나딘(Canadean)에 따르면 2015년 세계 간편식 시장규모는 763억달러로, 2011년 844억달러에 비해 9.6% 감소했다.


우리나라는 간편식류가 2010년 이후 주목을 받기 시작하며 성장하고 있는 반면, 일본, 유럽은 이미 간편식이 성숙기 단계에 접어들어 세계 시장 규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