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원자재, 특히 그 중에서도 연료 수출 의존도가 높은 개발도상국일수록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성장률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2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원자재가 하락이 60개 저소득 개도국의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같이 밝히고, 수출 다변화를 통해 성장률 하락에 대응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IMF는 60개 개도국을 ▲수출소득의 50% 이상이 연료수출인 '연료수출국' ▲수출소득의 50% 이상이 원자재 수출인 국가 중 연료수출국을 제외한 '비연료 원자재 수출국' ▲수출소득의 50% 미만이 연료수출인 '수출 다변화국'으로 분류해 최근 2년간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연료수출국의 GDP 성장률은 2014년 5.7%에서 지난해 -1.6%로 7.3%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연료 원자재 수출국과 수출 다변화국은 같은 기간 GDP 성장률이 각각 1.5%포인트, 0.4%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쳤다.
재정적자 현황도 연료수출국이 제일 열악한 변화를 보였다. 연료수출국의 재정적자는 2014년 GDP 대비 1.9%였으나 지난해에는 5.5%로 증가했다. 비연료 원자재 수출국은 같은 기간 2.3%에서 3.5%로, 수출 다변화국은 3.8%에서 4.5%로 늘어나는 데 그쳤다.
IMF는 향후 유가 등 원자재가 상승 등으로 인해 이들 개도국의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IMF가 전망한 GDP 성장률은 지난해 3.7%에서 올해 4.9%로, 2018~2020년에는 5.4%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모양새다. 경제성장에 따른 세입증가로 인해 재정적자도 덩달아 감소할 전망이다.
또 IMF는 저소득국의 경제 회복력 강화를 위해 ▲수출 다변화 ▲금융위험 관리 강화 ▲재정위험 관리 강화 ▲인프라 격차 해소 등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수출 다변화를 위해서는 제품을 다양화하고 교역 대상국을 확대, 원자재 가격 변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 것을 권고했다.
또 금융감독 기관의 권한과 전문성을 강화해 금융위험 관리역량을 제고하고, 지방·자치정부와 공공기관의 채무에 대한 재정위험 관리를 강화하라고 충고했다. 인프라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공공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민간의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