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충남지역 취준생 ‘일자리 하향조정’…좋은 일자리 기준은?


[아시아경제(내포) 정일웅 기자] 충남지역 대졸 취준생의 절반가량이 일자리에 관한 눈높이를 낮추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다만 이들은 고용안정과 적정임금, 일과 생활의 균형 등 조건을 좋은 일자리 기준으로 삼았다.


30일 충남여성정책개발원의 안수영 연구위원이 발표한 ‘충남 청년세대 일자리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충남지역 청년 취준생(대졸 이상) 중 46.5%가량은 대학 졸업 후 희망 일자리 기준을 낮췄다. 이는 최근 고용절벽과 고학력 청년실업자의 증가를 반영한 눈높이 하향 추세로 풀이된다.

지역 대졸 취준생이 바라는 좋은 일자리의 기준은 고용안정 등 근로복지제도가 키워드로 자리 잡았고 실질적인 일자리 선택에는 근로조건과 생활환경(문화, 정주여건)이라는 두 개 축이 동시에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한다.


취준생은 임금 보다 고용조건과 근로복지제도를 중시하는 특성을 보였고 이중 청년 여성은 노동시장 진입에서 성별에 따른 채용장벽, 생애주기(가족형성 등)가 동시에 충돌할 수 있는 점을 우려했다.

조사에서 이들은 기업체의 채용정보가 직급별 임금, 근로복지제도 현황, 직원의 평균 근속연수 등 일자리 조건과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수준으로 공개돼야 한다는 의견도 표출했다.


또 기업에 바라는 점으로는 열린 채용과정과 기업의 구인 눈높이 조정, 양질의 근로조건 제공, 공정한 기업운영 및 건강한 조직문화 조성 등을 제시했다.


조사결과에서 지역 토박이 청년은 구직활동 중 상대적으로 수도권 지향성이 두드러지지 않는 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이는 지역 강소기업에 대한 실제적, 청년 주도적 정보의 접촉면을 확대해 일자리 정보 간극(일자리 미스매칭)을 해소해야 하는 필요성에 배경이 된다.


안 연구위원은 “노동 친화적 근로복지제도는 충남지역의 토박이 청년을 지역기업체로 유인하는 효과적 시그널이 되며 청년들이 원하는 좋은 일자리 기준은 고용안정과 적정임금, 일과 생활의 균형 등 세 가지 조건이 핵심이 된다”며 “지역 기업과 청년 간 일자리 미스매칭 해소를 위해 성별 청년고용지표의 공시와 청년일자리 허브 설치, 청년 친화적 근로복지 제도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내포=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