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행복청, 건축물 인허가 증가…단독주택·편의시설 등 ‘정주여건’ 향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아시아경제(세종) 정일웅 기자]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의 건축물 인허가 건수가 늘고 있다. 특히 정부기관의 입주 시점에는 근린생활시설의 확충이 집중됐고 최근에는 단독주택과 주민밀착형 편의시설 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인허가 건수 증가를 견인하는 양상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관내 일반건축물 건축인허가 현황(공동주택을 제외한 지난해까지의 일반건축물 대상) 22일 발표했다.

현황에 따르면 2008년~2016년 행복도시 내 건축인허가 건수는 착공 576건·사용승인 389건 등 총 616건으로 집계된다.


용도별로는 ▲근린생활시설 282건(45.78%) ▲단독주택 150건(24.35%) ▲업무시설 49건(7.95%) ▲도시형생활주택 24건(3.9%) ▲교육연구시설 24건(3.9%) 주유소·주차장 등 기타시설 87건(14.21%) 등으로 분류된다.


연도별 건축물 인허가 현황에선 공동주택 입주와 정부세종청사 이전이 가시화된 2011년·2012년 무렵부터 지난해까지 근린생활시설 등 주민 편익시설이 본격적으로 들어서면서 총 575건의 인허가가 진행, 2008년~2016년 건축인허가 전체 건수의 94%가량을 차지한 것으로 파악되기도 했다.


이중 2012년~2014년 근린생활시설은 정주여건 확보를 목적으로 급증하다가 지난해부터는 관련 시설의 공급안정화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연도별 근린생활시설 인허가 건수는 2012년 12건, 2013년 44건, 2014년 92건, 2015년 68건, 2016년 54건 등으로 집계된다.


반대로 최근에는 단독주택의 인허가 증가추세가 두드러진다. 단독주택은 2011년 첫 건축인허가 이후 2012년 4건, 2013년 14건, 2014년 22건, 2015년 40건, 2016년 69건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올해는 고운동 소재 한옥마을과 유럽풍마을, 도담동 소재 B4구역, 세종리 문화예술 아트빌리지 등 구역형 단독주택지의 부지공급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이를 감안할 때 행복도시 내 단독주택의 건축인허가 건수 증가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게 행복청의 판단이다.


이밖에 교회 등 종교시설(14건)과 대형마트 등 판매시설(10건), 주유소 등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10건), 주차장 등 자동차 관련시설(9건) 등의 주민밀착형 편의시설의 공급이 늘면서 행복도시 건설 초기에 지적돼 온 정주여건이 차츰 향상되는 양상도 엿보인다.


행복청 추호식 건축과장은 “행복도시 인구증가와 함께 다양한 유형의 단독주택, 주민 편의시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라며 “행복청은 앞으로도 지역 내 각종 편의시설을 도입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