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나쁜여자傳⑬]세상사람들이 날 '대합조개'라 부르더이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빈섬의 '나합'이야기 -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건축비 뜯으러 나합을 찾아왔는데

[아시아경제 이상국 기자]여하튼 김좌근은 이런 사람이었다. 그의 성격은 안동김씨 가문의 흥망보다 그를 더 오래 권력에 있게 하는 힘이 되기도 했다. 파락호처럼 지내던 흥선대원군 이하응을 은근히 돌봐준 것이다. 이하응은 돈이 떨어지면 그가 그린 난초그림(그의 호를 따서 ‘석파란’이라 부른다)을 김좌근에게 팔러왔다. 그러면 김좌근은 두 말 없이 비싼 값에 그림을 사준다. 그의 이런 ‘보험’이 대원군 집권 이후에 원로 대우를 유지하게 했다. 다른 안동김씨들이 숙청당했을 때도 그는 ‘철종실록’ 편찬을 주관하고 3군부 영사 벼슬을 받는다.


김좌근은 한때의 바람기로 양지홍을 대한 것이 아니라, 그녀를 진짜 후실로 대해주었다. 후실 그 이상이었다.

양지홍을 당시 세간에서는 나합(羅閤)이라고 불렀다. 합(閤)이라는 호칭이 묘하다. ‘합’은 대문 옆에 붙은 쪽문을 가리키기도 하고, 대궐을 가리키기도 한다. 합문(閤門)은 궁궐의 조회 의례를 맡아보는 관아인 통례원을 가리킨다. 궁궐의 일상업무가 시작되는 편전(便殿)의 앞문을 그렇게 통칭했다. 이에 따라 정승을 합(閤)이라고 부르는 관행이 생겼다. 영의정은 ‘영합’, 좌우의정은 ‘좌우합’이 된다. 정승의 성을 따서 ‘김합’ ‘조합’이라고도 불렀다. 그런데 양지홍을 ‘나합’이라 부른 것은 김좌근의 벼슬만큼이나 높다는 것을 비꼰 의미일 것이다. 그 의미를 풀면 ‘나주의 정승’이란 뜻이 된다. 하지만 ‘합부인(閤夫人)’이란 말이 있다. 남의 부인을 높여서 그렇게 부른다. 그렇다면 나합은 나합부인의 준말로 그리 어색할 것도 없다.


그녀가 ‘나합’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것에 시비를 붙은 사람은 흥선대원군으로 알려져 있다. 세간에 도는, 나합에 관한 소문은 심각했다. 비단을 바치고 양주 수령자리를 줬다는 이야기, 젊은 미남자를 보면 그냥 벼슬을 줬다는 풍문도 있었다. 지방 수령의 임면권이 모두 김좌근에게 있었기에 우선 나합에게 뇌물을 바쳐야 통과된다는 것이 당시 비공인 ‘정설’이었다.

흥선대원군은 경복궁을 중건할 때 청수동 김좌근 별장으로 찾아가 나합의 일을 꺼내면서 궁궐 중건비 10만냥과 고정의 가례비 10만냥을 받아내기도 했다. 이 무렵 나합과 대원군이 나눈 대화가 인구에 회자된다.


[나쁜여자傳⑬]세상사람들이 날 '대합조개'라 부르더이다
AD



“자네를 세간에서 나합이라 부르는 것을 알고 있는가? 김합이 정승이라고 그 첩이 정승이란 말인가? 어찌 하여 이런 별칭이 붙었는지 설명해보게나.”


“나으리는 세간의 소리만 들었지 그 한자가 무엇인지 살펴 보시지 않은 듯 합니다. 나합(羅閤)이 아니라 나합(羅蛤)이라고 비웃는 것입니다. 나주의 정승이 아니라, 벌린(羅) 대합조개(蛤)라는 말입니다. 내 비록 첩으로 들어와 살아도 허물없이 살고자 애썼고 공정하고 어질게 사람을 대하고자 별렀습니다만, 세상은 나를 오직 더러운 계집년으로만 밀어붙이니 억울하고 분하옵니다.”


대원군은 당차고 야한 대꾸에 움찔하였다.


“내 처소에 덤벼든 자객이 안동김문이 시킨 일임을 실토하고 그대 이름을 발설한 바가 있는데?”


그러자 나합은 소리 내어 웃었다.


“나으리도 참 우습습니다. 역모(逆謀)라는 것도 이익이나 기대하는 바가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나는 고작해야 정승의 애첩으로 사랑받고 사는 것이 이미 충분한데 무엇하러 다른 일을 생각하겠습니까? 제사에도 참여하지 못하는, 천하의 천덕꾸러기 첩이 무슨 역모를 하겠습니까?”


이 말에 대원군은 실소를 터뜨리며, 돈을 챙기고는 물러갔다고 한다.






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